내용요약 “나의 이야기가 연극이 되다”…청년 예술인, 삶에서 예술을 발견하다
용인문화재단(이사장 이상일)이 청년 예술인들과 함께한 ‘제2회 대한민국 대학연극제’의 감동을 제주에서 ‘팔로우업(Follow-Up)’ 프로그램으로 이어가며 젊은 연극인들의 창작 여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용인문화재단 제공
용인문화재단(이사장 이상일)이 청년 예술인들과 함께한 ‘제2회 대한민국 대학연극제’의 감동을 제주에서 ‘팔로우업(Follow-Up)’ 프로그램으로 이어가며 젊은 연극인들의 창작 여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용인문화재단 제공

|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용인문화재단(이사장 이상일)이 청년 예술인들과 함께한 ‘제2회 대한민국 대학연극제’의 감동을 제주에서 ‘팔로우업(Follow-Up)’ 프로그램으로 이어가며 젊은 연극인들의 창작 여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재단은 지난 11월 3일(월) 제주 예술협동조합 씨알에이(C.R.A, 대표 최유라)와 협력해 진행한 「제2회 대한민국 대학연극제 후속 프로그램 ‘팔로우업’」을 성황리에 종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대학연극제 참여자들이 축제 이후에도 창작과 교류를 지속할 수 있도록 마련된 후속 지원 사업이다.

‘팔로우업’에 참여한 청년 연극인들은 9월 말부터 ‘플레이백씨어터(Playback Theatre) 워크숍’을 통해 서로의 삶과 감정을 공유했으며, 10월 한 달 동안 4개 팀으로 나뉘어 각자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즉흥극 창작 모임을 진행했다./ 용인문화재단 제공
‘팔로우업’에 참여한 청년 연극인들은 9월 말부터 ‘플레이백씨어터(Playback Theatre) 워크숍’을 통해 서로의 삶과 감정을 공유했으며, 10월 한 달 동안 4개 팀으로 나뉘어 각자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즉흥극 창작 모임을 진행했다./ 용인문화재단 제공

‘팔로우업’에 참여한 청년 연극인들은 9월 말부터 ‘플레이백씨어터(Playback Theatre) 워크숍’을 통해 서로의 삶과 감정을 공유했으며, 10월 한 달 동안 4개 팀으로 나뉘어 각자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즉흥극 창작 모임을 진행했다.

이어 ‘PMP(Play Mapping Project): 제주를 걷다’ 프로그램에서는 제주 서귀포의 보롬왓에서 각 팀이 준비한 짧은 공연을 게릴라 형식으로 선보였고, 조천읍 선흘리의 예술가공동체 ‘선흘그림할망’을 방문해 지역 어르신들의 삶과 예술 세계를 직접 듣고, 그 이야기를 즉흥적인 장면으로 표현하며 예술적 공감대를 넓혔다.

이번 ‘팔로우업’ 과정은 청년 연극인들의 예술 성장과 지역 간 문화 교류를 담은 미니 다큐멘터리 영상으로 제작돼, 용인 시민은 물론 전국의 청년 예술가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용인문화재단 제공
이번 ‘팔로우업’ 과정은 청년 연극인들의 예술 성장과 지역 간 문화 교류를 담은 미니 다큐멘터리 영상으로 제작돼, 용인 시민은 물론 전국의 청년 예술가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용인문화재단 제공

단국대학교 연극전공 학생 문유빈은 “그림할망과 친구들의 삶을 듣고 즉흥으로 장면을 만들어보는 순간, ‘진짜 이야기’가 가진 힘을 느꼈다”며 “대본이 아닌 사람의 기억과 감정에서 출발하는 연기가 이렇게 깊을 수 있다는 걸 배웠다. 같은 꿈을 가진 친구들과 이 경험을 나눌 수 있어 평생 기억에 남을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팔로우업’ 과정은 청년 연극인들의 예술 성장과 지역 간 문화 교류를 담은 미니 다큐멘터리 영상으로 제작돼, 용인 시민은 물론 전국의 청년 예술가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프로그램은 이상일 용인특례시장(대회장)이 제2회 대학연극제 기간 중 약속했던 “젊은 연극인들이 성장과 교류를 이어갈 수 있는 후속 프로그램 마련”이라는 의지를 구체화한 사업으로 평가된다.

용인특례시와 용인문화재단은 앞으로도 대학 참여자 중심의 창작 워크숍, 교류 프로그램, 후속 창작 지원 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청년 예술인들이 지역과 세대를 잇는 ‘문화 환류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김두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