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하지현 기자 | 한국온라인쇼핑협회는 새벽배송 금지' 추진은 소비자 불편과 국민후생 악화를 초래한다고 우려했다.
4일 한국온라인쇼핑협회는 성명서를 통해 새벽배송 전면 제한은 소비자 생활 불편, 농어업인 및 소상공인 피해, 물류 종사자 일자리 감소 등 여러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협회는 새벽배송은 맞벌이 부부, 1인 가구, 영유아를 둔 부모 등 다양한 계층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잡은 생활필수 서비스라고 강조했다. 2024년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소비자시장평가지표’에서 새벽배송은 71.8점으로 40개 주요 서비스 중 1위를 기록, 국민 생활편익 증진에 가장 기 여한 서비스로 평가됐다. 해당 서비스를 제한할 경우 야간 주문-아침 수령이라는 핵심적 소비자 효용이 사라지고 국민 후생이 급격히 저하될 것이란 설명이다. 또한 농촌 및 도서산간 지역에서는 새벽배송이 ‘식품 사막화’를 완화하는 주요 유통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한상의 조사에 따르면 새벽배송 비이용 지역 소비자의 84%가 도 입을 희망하고 있어, 서비스 축소는 국민 다수의 수요에 역행하는 조치라고 분석했다.
이어 새벽배송은 AI 기반 수요예측과 콜드체인 등 첨단 물류혁신의 상징적 모델로, 이를 중단 할 경우 라스트마일 혁신이 후퇴하고 온라인 유통산업 경쟁력에 심대한 타격을 줄 것을 우려했다.
협회 관계자는 "야간배송이 멈추면 물류센터 분류, 간선운송, 거점이동 등 전 과정이 연쇄 지연되어 산업 전반의 비효율이 확대될 우려도 크다"라며 "야간에 운영되는 보안·편의·철강·조선·운송 등 기간산업 종사자들의 활동이 경제의 동맥을 지탱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야간노동의 일 괄적 제한은 국가경제의 근간을 흔드는 조치가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하지현 기자 hajiya97@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