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산업위기지역 확대·K-스틸법 제정 등 건의
▲철강도시 영상회의 (사진=광양시)
▲철강도시 영상회의 (사진=광양시)

| 한스경제=하태민 기자 | 미국과 관세 협상에서 철강이 협상 대상에서 제외돼 50% 고율 관세가 유지된 가운데 광양·포항·당진이 공동 대응에 나섰다. 세 도시는 3일 열린 '철강산업도시 단체장 긴급 영상회의'에서 철강산업 피해 상황을 공유하고 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대응책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김정완 광양부시장, 이강덕 포항시장, 황침현 당진부시장이 참석했으며 최근 한·미 관세 협상에서 철강이 제외된 것에 깊은 우려를 표하고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참석자들은 철강산업이 국가 기간산업이자 제조업 경쟁력 핵심이며 포항·광양·당진이 국내 조강 생산 93%를 차지하는 중추 거점도시임을 강조했다. 이들은 이번 고율 관세 조치가 지역경제는 물론 국가 전체 제조산업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세 도시는 △대미 후속 협상을 통한 철강 품목 재논의 촉구 △광양·당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확대 지정 △포항·광양·당진 고용위기선제대응지역 조기 지정 △K-스틸법(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법) 조속 제정 △철강산업 고도화 종합대책 지역 맞춤형 실효성 강화 △4차 배출권 허용총량 완화 등을 정부와 국회에 공식 건의키로 했다.

지자체·기업·상공회의소가 함께 참여하는 '국회 철강포럼'을 공동 개최해 범정부 차원 대응과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도 모색하기로 뜻을 모았다.

김정완 광양부시장은 "철강산업은 광양경제 중추이자 대한민국 제조산업 심장으로 정부와 지자체, 기업이 협력해 위기를 함께 극복해야 한다"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과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 지원대책 마련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태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