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남해화학과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계약’ 체결…2027년 실거래 목표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 없는 스팀으로 기존 LNG 연료 스팀 대체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왼쪽)과 김창수 남해화학 사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GS칼텍스 제공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왼쪽)과 김창수 남해화학 사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GS칼텍스 제공

| 한스경제=김창수 기자 | GS칼텍스는 지난달 31일 서울 강남구 GS타워에서 남해화학과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양 사가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지 10개월만에 이뤄낸 가시적 성과다.

GS칼텍스의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 사업'은 여수산단 내 남해화학 유휴 황산공장을 재가동해 생산한 무탄소 스팀을 GS칼텍스 여수공장이 도입, 기존 LNG 원료 스팀을 대체하는 사업이다.

이번 계약을 통해 GS칼텍스는 원유 정제 부산물인 유황을 남해화학에 공급하게 된다. 이를 원료로 남해화학이 황산을 생산하며 발생하는 강력한 발열 반응의 열에너지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무탄소 스팀을 생산, GS칼텍스에 공급한다.

GS칼텍스는 기존 LNG 연료 스팀 생산 대비 연간 약 7만tCO2eq의 탄소 감축을 기대하고 있다.

양 사는 2027년 실거래를 목표로 내년 초 스팀 배관 건설, 남해화학 황산공장 개조 및 황산탱크 신규 건설 등에 착수할 계획이다.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은 "이번 협력은 기업들이 서로의 강점을 연결해 탄소 감축의 새로운 기회를 함께 찾아낸 좋은 사례”라며 “앞으로 양 사가 더 나은 산업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든든한 파트너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사업은 유휴설비 단순 재가동을 넘어 여수산단 기업들이 상호협력해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을 창출해낸 우수 협업 사례로 꼽힌다.

GS칼텍스는 미래 사업을 유관부서와 함께 논의해 의사 결정하는 전사 협업 회의체 ‘비즈니스 카운실(Business Council)’에서 여수공장 에너지원의 저탄소 전환을 검토해 왔다.

그러던 중 원유 정제 부산물인 유황을 원료로 하는 황산공장을 건설하면 탄소 배출 없이 스팀 생산이 가능한 점을 발견했다.

이후 여수산단에 함께 위치한 남해화학 유휴 황산공장을 활용한 협업 방안이 도출됐다.

원료 공급과 스팀 생산·공급 두 가지 비즈니스가 맞물린 복잡한 상황이지만 탄소 감축과 유휴 설비 재가동을 통한 신사업 개발이란 이해관계가 맞아 협력을 추진하게 됐다고 GS칼텍스 측은 설명했다.

김창수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