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수출경쟁력·선복 확대 기대
“단기 리스크 완화… 중장기 교역패턴 변화는 주시 필요”
| 한스경제=이승렬 기자 | 한국해양진흥공사(사장 안병길, 이하 해진공)는 3일 최근 APEC 정상회담을 계기로 발표된 미·중 간 상호관세 1년 유예 및 한·미 관세협상 타결이 글로벌 해운시장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과 중국은 무역 갈등 완화를 위해 보복적 고율 관세 및 입항수수료를 조정·유예하기로 합의했다. 해진공은 이번 조치로 미·중 교역 리스크가 단기 완화되고, 특히 중소형 벌크선 화물인 미국산 농산물의 물동량 회복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입항수수료 유예는 선사의 운항비 절감과 선복 회전율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해당 조치가 1년 유예에 그쳐 만료 이후 재개 가능성과 반도체·희토류 갈등 재점화는 여전히 잠재 리스크로 남아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한·미 간 관세협상 타결로 자동차 관세가 15%로 조정되고, 제약품목에 제로 관세가 적용되면서 한국 수출품의 경쟁력 회복이 기대된다. 해진공은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 한국발 선복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고, 중장기적으로는 한국 선사가 입항비 부담 측면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해양산업정보센터는 이번 통상 조치가 단기적으로 해운시장의 심리적 안정을 가져오고 운항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보면서도, 중장기적으로는 교역구조 재편과 운임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병길 사장은 “이번 통상 완화 조치로 단기적으로는 해운시장의 불확실성이 완화될 것”이라며 “향후 관세 및 통상정책 변화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국적 선사의 안정적 운항 환경 조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승렬 기자 ottnews@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