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상급종합병원 전무·의사수 전국 최하위 수준… 의료 불균형 심각
지역 인재 양성과 의료자립 통한 균형발전의 핵심 과제로 부상
|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안동시는 지난 10월 27일부터 30일까지 서울광장 일원에서 열린 ‘2025 안동 농축산물 직거래장터 – 왔니껴 안동장터’ 현장에서 경북 국립의과대학 신설 홍보부스를 운영하며 전국 시민들에게 경북의 의료 현실을 알렸다.
부스에서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의대 신설 홍보 리플렛과 기념품을 배부하고, 의대 설립을 지지하는 서명운동을 전개해 500여 명의 시민이 참여했다. 안동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농축특산물 장터라는 친숙한 공간 속에서 의료 불균형 문제를 자연스럽게 알리고, 지역을 넘어 전국적 공감대를 확산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경북은 상급종합병원이 단 한 곳도 없고, 인구 1천 명당 활동 의사 수가 1.39명으로 전국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다. 특히 내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의료 분야 전문의 부족이 심각한 전국 대표 의료취약 지역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지역 내에서 의료 인력을 양성하고, 졸업 후 해당 지역에 정착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경북 국립의대 신설’은 단순한 지역 과제가 아닌 국가적 균형발전 의제로 평가된다.
또한, 중소도시 안동에 국립의대와 대학병원이 설립될 경우, 의료서비스 접근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정주 여건 개선과 인구 유입 등 지방소멸 대응에도 실질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지역민의 오랜 숙원인 국립의과대학 및 대학병원이 국립경국대에 설립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번 홍보활동을 시작으로 경북의 의료 현실을 전국민이 함께 인식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경북 국립의대 신설 논의는 단순히 ‘한 지역의 대학 유치’ 차원을 넘어, 지방 의료자립과 국가균형발전의 시험대라 할 수 있다. 서울·수도권 중심의 의료 인프라 집중이 지속되는 한, 경북을 비롯한 비수도권 지역의 의료 공백은 구조적으로 해소되기 어렵다.
경북 국립의대 설립은 결국 “지역에서 태어난 의사가 지역을 지킨다”는 공공의료의 본질로 귀결된다. 정부는 단순한 숫자 조정보다, 의료인력 배분의 실질적 공정성과 교육·정책 지원체계 구축에 집중해야 할 시점이다.
손철규 기자 sonck55@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