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내 AI·디지털 트윈·로봇 통합으로 모빌리티 혁신 추진
| 한스경제=곽호준 기자 | 현대자동차그룹이 엔비디아와 함께 차세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모빌리티 혁신에 나선다.
현대차그룹은 31일 경주 APEC 현장에서 엔비디아와 협력해 차세대 AI칩 ‘블랙웰(Blackwell)’ 기반의 인공지능(AI) 팩토리를 구축하고 자율주행, 로보틱스, 스마트 팩토리 분야의 기술 개발을 가속화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기존 협력을 넘어 ‘피지컬 AI(물리적 환경에서 자율 의사결정이 가능한 AI)' 분야에서 새로운 혁신을 추진한다. 이번 협력에는 5만장의 블랙웰 그래픽카드(GPU)가 투입된다. 모델 개발, 검증, 실증을 통해 차량, 로봇, 공장 전반의 AI 역량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날 현대차그룹-엔비디아-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한국 제조 데이터와 엔비디아 AI 인프라의 결합이 산업 전반의 혁신을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약 30억달러(4조2800억원) 규모의 '국가 피지컬 AI 클러스터' 조성에도 나선다. 주요 추진 과제로는 ▲엔비디아 AI 기술센터 ▲현대차그룹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 센터 ▲국내 데이터센터 설립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AI 인재 양성과 기술 교류를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엔비디아와의 협력 강화는 AI 기반 모빌리티와 스마트 팩토리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전략적 도약"이라며 "대한민국 AI 생태계 구축과 인재 육성을 위한 글로벌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AI는 제조부터 운송까지 산업 전반을 혁신할 것"이라며 "현대차그룹과 지능형 자동차와 공장을 구현하고 향후 수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모빌리티 산업을 함께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은 엔비디아의 AI 컴퓨팅 플랫폼을 활용해 ▲디지털 트윈(가상 공장 모델 시뮬레이션) ▲로보틱스 ▲차량 내 지능형 시스템을 통합하는 지능형 생태계를 구축한다. 아울러 ▲엔비디아 DGX(대규모 AI 학습 시스템) ▲옴니버스(가상 시뮬레이션 플랫폼) ▲드라이브 AGX 토르(차량용 AI 칩) 3가지의 플랫폼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및 스마트 제조 기술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생산 효율 최적화 ▲예지보전(고장 예측 정비) ▲가상 커미셔닝(시스템 사전 검증) 등을 구현해 완전 자율형 공장으로의 전환을 앞당긴다. 또한 차량 내에서는 ▲AI 어시스턴트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적응형 컴포트 기능 등을 강화해 지능형 차량 개발을 가속화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AI 팩토리 도입으로 차량과 공장을 상호 연결된 지능형 시스템으로 발전시켜 글로벌 모빌리티 산업의 새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곽호준 기자 khj@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