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의장국 자격으로 각국 정상 영접
李대통령, APEC 정상회의 첫 세션 '초청국 비공식 대화' 주재
"더욱 연결되고 복원력 있는 세계를 향하여" 민관 협력 방안 논의
| 한스경제=주진 기자 |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31일 공식 개막했다.
11월 1일까지 이틀간 진행되는 이번 정상회의에는 21개 회원국 정상과 각료 외에 초청국인 아랍에미리트(UAE)의 칼리드 빈 모하메드 알 나흐얀 아부다비 왕세자와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등이 참석한다.
의장국 정상인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오전 각국 정상을 영접한 뒤 정상회의를 주재한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2025년 APEC 정상회의의 첫 번째 세션인 '초청국과의 비공식 대화'를 주재한다.
세션에는 APEC 21개 회원의 정상들을 비롯해 아랍에미리트연합국의 칼리드 아부다비 왕세자, 국제통화기금 IMF의 게오르기에바 총재가 참석한다.
대화 주제는 "더욱 연결되고, 복원력 있는 세계를 향하여"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개방적이고 역동적이며, 회복력 있는 경제 지역으로 만들기 위한 방안들이 논의된다.
세션은 참석 정상들이 허심탄회하고 솔직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비공식 대화 형식으로 진행된다.
이 대통령은 세션에서 △무역·투자 촉진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경제적 연결성 강화 △민간 부문의 잠재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민관 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APEC 회원들이 상호 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교역할도 적극 수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역내 협력 의지를 복원하고, APEC이 미래에도 역내 최대 경제협의체이자 적실성 있는 플랫폼으로 거듭날 수 있는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정상회의의 최대 관심사는 회원국 정상들의 일치된 목소리를 반영할 ‘경주 선언’ 채택이다. 최중문안에 APEC 설립 취지인 ‘자유 무역’에 대한 지지 문구가 포함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미국이 자국우선주의를 강조하면서 이 표현이 빠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30일 브리핑에서 “다수 회원들이 막판 협상을 하고 있다”면서도 ‘경주 선언’ 채택에 “매우 근접했다”고 밝혔다.
올해 중점 의제인 인공지능(AI) 협력도 비중 있게 다뤄진다. 이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경제포럼인 ‘2025 APEC CEO 서밋’ 특별연설을 통해 ‘AI 이니셔티브’를 제안하고 “모두를 위한 AI 비전이 APEC의 뉴노멀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등 글로벌 기업인들도 CEO 서밋 참석차 경주를 찾았다. 이 대통령과 각국 정상들은 APEC 기업인자문위원회(ABAC)와의 대화에 참석해 기업인들과 교류할 예정이다.
주진 기자 jj72@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