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이인호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미래 에너지 패권을 좌우할 핵융합 연구시설 유치에 발벗고 나섰다.
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 사업'의 연구시설 부지로 새만금 산단을 제안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사업은 2027년부터 2036년까지 10년간 진행되며, 핵융합 기술개발에 3500억 원, 실증 인프라 구축에 8500억 원 등 총 1조 2,000억 원이 투입된다. 부지 선정은 11월 말 발표될 예정이다.
특히 핵융합 기술은 태양에서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인공적으로 재현해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로, '인공태양'으로 불린다.
여기에 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고준위 방폐물도 발생시키지 않으며, 폭발 위험이 없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새만금은 공모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 최소 요구 면적인 50만㎡를 초과하는 단일 부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왕복 6차선 진입로가 확보돼 있다. 전기·상하수도 인입 인프라가 갖춰져 있고, 2027년 말 조성공사가 완료될 예정이어서 사업 착수 시기와도 맞아 떨어진다.
전북의 가장 큰 강점은 이미 구축된 연구 인프라다. 군산에 위치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는 2012년 개소 이후 플라즈마 기초·원천기술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와 함께 오는 11월 개통 예정인 새만금-전주 간 고속도로는 배후도시인 전주와 군산과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연구인력 수급과 정주 여건 측면에서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전북 국회의원들도 유치 성공을 위해 힘을 보탰다. 이날 전북 국회의원 예산정책협의회는 '새만금에 떠오르는 인공태양' 슬로건 아래 유치 성공기원 결의 다짐 행사를 개최했다.
국회의원들은 "세계적으로 에너지 주권 확보가 핵심 이슈로 부각되는 가운데, 미래 산업의 패러다임을 선도할 첨단 연구 인프라가 새만금에서 시작되길 바란다"며 유치 활동에 협력하기로 했다.
앞서 도는 지난 23일 새만금청, 군산시, 농어촌공사 등과 함께 유치대응TF 킥오프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유치전에 돌입했다.
김관영 지사는 “전북은 이미 플라즈마기술연구소가 위치한 만큼 핵융합연구원의 기능 집적화를 위해서도 새만금은 매우 유리한 위치"라며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를 통해서 새만금에 새로운 빛을 비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인호 기자 k9613028@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