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이현령 기자 | 강인석 이마트 본부장은 이마트가 기간제법을 회피하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 "어려운 고용 환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기간제 사원을 채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30일 강인석 이마트 본부장은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에서 열린 종합감사에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이마트에서 5년간 1만 3956명이 계약 만료로 고용보험을 상실했다. 1년 단위로 하면 2000명"이라며 "5년간 계약직 사원 비율은 9.55%로 동종 업계에 비해 계약직의 비정규 노동자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이마트는 6개월을 비워 재고용하는 방식으로 2년을 경과시키지 않아 기간제법을 회피하고 있다"라며 "기간 만료로 계약 해지가 되면 몇 개월간 실업 급여를 받은 뒤 재고용되는 형태"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이런 방식은 국민의 세금이 전가돼 국민이 부담된다"라며 "일에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사람들로 계속 교체돼 산재 위험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강 본부장은 이에 대해 "온라인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유통업계가 정말 어려운 상황"이라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어 변동성이 있는 고용 환경에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 "회피가 아니라 부득이하게 기간제 사원을 채용한 것 뿐"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이마트가 노동조합에 개입해 탈퇴를 종용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정 의원은 "관리자가 민주노총 노동조합 탈퇴를 종용하고 조합비까지 대납해 주는 행위까지 발생하고 있다"라며 "노동자들이 민주노총에 가입하면 전환 배치된다고 인식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강 본부장은 "해당 부분에 대해 사실 관계를 확인해 보고 대책까지 만들도록 하겠다"라며 "해당 부분이 실제로 발생했을 경우 관련 제도를 마련하겠다"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현재 이마트의 노동조합은 총 6개"라며 "대표 노조만이 아닌 소수 노조도 불만이 없도록 노사관의 관계를 잘 설정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이현령 기자 box0916@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