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업·지역전략 산업 맞춤형 학과 개편, 경쟁력 강화 효과 뚜렷
경북 직업교육, 현장 대응력과 취업 경쟁력으로 중심지 입지 굳혀
|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경북교육청은 2026학년도 마이스터고 신입생 원서접수 및 특성화고 특별전형 원서접수 결과, 전체 평균 경쟁률이 1.2:1로 나타났다고 10월 30일 밝혔다.
이는 학령인구 감소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전년(1.13:1)보다 상승한 수치로, 경북 직업계고 경쟁력 강화 정책이 실질적인 신입생 유치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체 모집정원 4,394명에 5,270명이 지원했으며, 이 중 타 시도 출신 학생은 마이스터고 9교에 400명(44.7%), 특성화고 46교에 833명(23.8%)이 지원해, 전국 단위 학생 유입 기반이 공고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내년 개교 예정인 (가칭)한국반도체마이스터고는 전년(0.88:1) 대비 두 배 가까이 경쟁률이 상승한 1.67:1을 기록했고, 스마트제조분야 협약형 특성화고인 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도 0.87:1에서 1.44:1로 경쟁률이 크게 상승했다. 이는 산업수요 맞춤형 학과 개편의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 결과다.
경북교육청은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소멸 가속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산업·지역전략 산업 중심 학과 개편과 현장 연계형 교육과정 혁신을 적극 추진해왔다. 이를 통해 직업계고의 현장 대응력과 취업 경쟁력이 강화되며, 학생과 학부모가 신뢰하는 ‘경쟁력 있는 직업교육 모델’로 자리매김했다.
임종식 교육감은 “학령인구 감소 속에서도 경북 직업계고에 대한 신뢰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지역 산업과 연계된 교육과정 혁신을 통해 경북 직업계고를 대한민국 직업교육의 중심으로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소멸이라는 구조적 위기 속에서도, 경북 직업계고는 산업 맞춤형 교육과 현장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전국 단위 학생 유입 증가와 산업수요 기반 학과 개편은 단순한 입학 경쟁률 상승을 넘어, 지역 인재 육성과 산업 발전의 선순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 지속적 혁신과 학부모·학생 신뢰 확보가 직업교육 중심지로서 경북의 입지를 굳히는 핵심이 될 것이다.
손철규 기자 sonck55@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