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손명수 의원 "117개 모델 중 46개, 주차 중 이상 감지·전파 불가"
충전 감지 불가 모델도 10개…정부 대책 실효성 논란
더불어민주당 손명수 의원이 지난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전기차 화재 예방을 위한 국민 대토론회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최대성 기자
더불어민주당 손명수 의원이 지난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전기차 화재 예방을 위한 국민 대토론회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최대성 기자

| 한스경제=곽호준 기자 | 인천 청라 소재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가 발생한 지 1년이 지났지만 정부의 배터리관리시스템(BMS) 개선 대책은 여전히 제자리인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손명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운행 중인 전기차 117개 모델 가운데 46개 모델(약 40%)이 ‘주차 중 이상 감지 및 전파 기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10개 모델은 충전 중에도 배터리 이상을 감지하지 못했다. 브랜드 및 차종별로 ▲GM (볼트EV, 볼트EUV) ▲르노 (SM3 Z.E, 조에, 트위지) ▲폴스타 (폴스타2, 폴스타4), 토요타 (렉서스 RZ450e·UX300e), 재규어 (I-PACE EV400) 등이 포함된다. 충전 중에는 배터리 열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화재 위험이 특히 높다.

국산차보다 수입차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수입 전기차 88개 모델 중 39개(44%)가 주차 중 배터리 이상을 감지·전파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벤츠 EQA·EQB 등 주요 모델 다수가 해당 기능을 탑재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청라 화재 직후 BMS 기능 개선을 약속했으나 실제 개선된 차량은 KG모빌리티 2종과 아우디·폭스바겐 3종 등 총 5개 모델에 불과했다. 이는 전체 전기차의 4% 수준이다. 이상 감지 시 소방청 등 외부 기관에 자동 통보하는 조기 대응 체계도 미흡하다. 현재 이 기능이 적용된 차량은 현대차·기아·BMW 일부 모델 약 4만대에 불과해 전체 전기차 등록 대수인 약 80만대의 5% 수준이다.

손명수 의원은 "청라 화재 이후 정부가 BMS 개선을 약속했지만 1년이 지난 지금도 실질적 조치는 미비하다"며 "이제 말뿐인 대책이 아니라 모든 전기차에 이상감지·전파 기능이 작동하도록 기술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곽호준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