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조직 혁신, AI 기반 미래경영 본격화
SK그룹 전경. / SK
SK그룹 전경. / SK

 

| 한스경제=고예인 기자 | SK그룹이 30일 2026년도 사장단 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인사는 전통 제조와 에너지 사업에 AI, 디지털 신사업 경쟁력을 더하고 조직 전체의 미래 혁신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SK그룹은 이날 SK수펙스추구협의회 임시회의를 열고 30여 명에 달하는 주요 계열사 사장단의 조직 개편과 인사를 확정해 각 계열사 이사회에 보고했다. 실제로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등 통신·ICT, SKC·ES 등 에너지·화학, 그리고 AI·플랫폼 부문 등 전 분야에서 신임 사장과 조직재편이 잇따랐다.​​

주목할 만한 점은 SK 주요 계열사에 AI·디지털 신사업 관련 조직(CIC: Company in Company) 신설 및 확대가 이뤄졌다는 점이다. 계열사별 독립적 혁신조직인 CIC 신설을 통해 신산업 유연성을 강화하고 각 사나 AI 연계 프로젝트를 현장 중심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인사 대상으로 선임된 신임 사장들은 글로벌 MBA 출신이거나 그룹 내 다양한 신성장 조직에서 역량을 검증받은 1970년대생 경영진이 주축이다. SK PM, SK Solution Platform, SUPEX SV, SK CGO 등 전략조직 출신들이 대거 전진배치됐고, 각 사에서는 IT·AI,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 경험자를 중용했다. 특히 SK텔레콤은 판사 출신으로 대외협력 분야를 이끌어온 정재헌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CEO)로 내정, 그룹 내 첫 법조인 CEO가 탄생할 전망이다.​​

이번 인사에 대해 SK그룹은 “디지털 전환과 AI 경쟁력 강화, 미래지향적 신사업 발굴,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에 조직의 역량을 집중한다”며 “각 계열사가 독립 혁신역량을 키워 미래 성장동력 발굴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SK그룹의 2026년 사장단 인사는 AI·글로벌 혁신을 통해 신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경영진의 세대교체를 통한 조직 DNA 전환이라는 의미를 남기게 됐다.

고예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