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분반편성자동화 프로그램’… 고교학점제 행정 부담 대폭 경감
김석준 교육감 “현장 효율 높이는 디지털 전환 문화 확산 기대”
| 한스경제=이승렬 기자 | 부산시교육청이 현장 교직원들의 아이디어로 행정업무 효율화를 실현했다. 단순 반복적 행정을 자동화하는 ‘업무자동화 프로그램 개발대회’에서 교직원들이 직접 개발한 프로그램이 높은 평가를 받으며, 디지털 전환 시대 교육행정 혁신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부산시교육청(교육감 김석준)은 27일 오후 교육청 회의실에서 ‘업무자동화 프로그램 개발대회’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교직원이 직접 개발한 자동화 프로그램을 통해 불필요한 행정 절차를 줄이고, 현장 중심의 효율적 업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8~9월 진행된 대회에는 총 43편의 프로그램이 출품됐으며, 전문가 심사를 거쳐 5팀이 우수작으로 선정됐다.
대상(상금 500만 원)은 부산사대부고 권보성 교사가 개발한 ‘분반편성자동화 및 관리프로그램’이 차지했다. 이 프로그램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 복잡해진 분반 편성 과정을 자동화해 교원의 행정 부담을 크게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우수상(상금 250만 원)은 총무과 홍민기 주무관과 인성체육급식과 박경령 주무관이 개발한 ‘관외여비정산프로그램’이 수상했다. 출장보고서와 정산서를 자동으로 생성해 행정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장려상(각 100만 원)에는 ▲‘고교학점제 수강신청 자동점검프로그램’(체크체커팀), ▲‘성적취합도우미’(유일팀), ▲‘교육공무직원 4대보험 통합프로그램’(업무사대보험팀) 등 3팀이 선정됐다. 이들은 각각 수강신청 오류 점검, 성적통계 자동화, 고지서 취합 자동화 등 실질적인 행정효율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김석준 교육감은 “불필요한 행정 업무를 줄이고 효율적인 학교 현장을 만들기 위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휘한 교직원들에게 감사드린다”며, “수상작이 각급 학교와 기관에서 실제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보완·확산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대회가 교육현장의 디지털 전환과 행정혁신을 이끄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승렬 기자 ottnews@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