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대규모 국가행사인데 지역수장은 배제… 상식의 문제다.
이승렬 영남취재본부 부산본부장.
이승렬 영남취재본부 부산본부장.

| 한스경제=이승렬 기자 | 부산 중구 광복로 일대가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개막을 앞두고 분주하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기부 등 10개 부처가 합동으로 여는 국가 단위 행사, 내수 진작을 위한 대형 할인 축제다. 

여기에 28일 오후 3시 30분 국무총리와 홍보대사 박지성등 10여 명의 내빈이 참석하는 화려한 개막식이 예고됐다.

그런데 정작 행사 개최지의 주인, 박형준 부산시장 이름은 명단 어디에도 없다. 부시장이 둘이나 있지만, 그조차 포함되지 않았다. 

총리실 관계자는 “총리님은 초청받아 가는 것뿐”이라고 선을 긋고, 부산시는 “일정 조정이 어려웠다”는 원론적 답만 내놓았다.

하지만 지역에서는 묘한 공기가 감돈다. “이게 또 부산패싱 아니냐”는 것이다.

◇ 중앙 무대의 ‘들러리’로 전락한 부산

부산은 오랜 세월 중앙의 시선에 익숙하다. 
‘부산에서 열리는 행사’라지만, 실상은 ‘서울이 주도하고 부산은 무대를 빌려주는 구조’가 반복돼 왔다.

이번 행사 역시 다르지 않다. 내수 진작의 명분 아래 부산의 상권을 살린다면서, 정작 지역 행정의 수장을 배제한 건 납득하기 어렵다.

행사의 취지가 ‘지역경제 활성화’라면, 중심에 서야 할 사람은 시장이다. 
그 부재는 단순한 의전의 문제가 아니라, 지방을 파트너가 아닌 들러리로 보는 중앙의 인식을 드러낸다.

◇ 보이지 않는 ‘정치적 계산’?

누구도 대놓고 말하지 않지만, 지역 정치권은 이 사안을 정치적 신호로 본다. 
총리실의 일정은 ‘APEC 경주행 방문 전 부산 경유’로 짜였고, 시는 “일정상 불가”라 했지만, 그 말은 너무 익숙하다. 
정말 일정 때문일까, 아니면 의도된 배제일까.

“민주당 정부의 지역패싱 DNA가 다시 작동했다”는 지역 정가의 불만이 터져 나오는 이유다.

28일 오후, 광복로 입구 분수대 앞 광장에서 열릴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개막식 무대 공사가 한창이다. 사진=이승렬 기자
28일 오후, 광복로 입구 분수대 앞 광장에서 열릴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개막식 무대 공사가 한창이다. 사진=이승렬 기자

◇ 진짜 ‘그랜드 페스티벌’은 어디서 열리나

지방을 존중하지 않는 중앙의 행정은 그 어떤 화려한 무대보다 공허하다.
부산의 목소리를 막는 순간, 그 축제는 절반의 의미를 잃는다.

진짜 그랜드 페스티벌은 서울이 아닌, 부산 시민의 자존심 위에서 열릴 때 완성된다.

이승렬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