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체육회·IOC 회의 5차례 확인… “국민 기만한 행정” 비판
총사업비 5조 원 계획 불투명… “2036년 홍보만 남은 유치 추진” 일침
| 한스경제=이승렬 기자 | 2036년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가 표면적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준비는 전무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북도는 타당성조사를 미루고 협의자료를 제출하지 않았으며, 대한체육회는 이를 알고도 방관했다는 비판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정연욱 국민의힘 의원은 27일 오전 국정감사에서 “전북도가 2036 전주올림픽 유치를 추진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준비는 ‘0%’ 수준”이라며 “타당성조사를 미루고, 국민에게 어떤 수정이 이뤄지고 있는지조차 설명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실이 전북도에 유치계획 변경 과정에서 체육회·문화체육관광부·IOC 등과의 협의 자료를 요청했지만, 전북도는 “해당 자료가 없다”고 답했다.
그러나 정 의원은 대한체육회 내부 문건을 근거로 “올해 3월부터 9월까지 문체부·체육회·전북도·IOC가 5차례 회의를 진행한 기록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회의록에 따르면 IOC는 “경기장과 선수촌의 지나친 분산은 어렵다”, 체육회는 “실현 가능한 계획으로 수정해야 한다”, 문체부는 “IOC와의 사전 협의를 통해 타당성조사의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정 의원은 “협의가 있었음에도 공식 답변에 ‘없다’고 한 것은 국민을 기만한 행정”이라며 “체육회 역시 이를 알고도 공개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또한 전북도의 유치계획안 역시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꼬집었다. 총사업비는 5조3,312억 원, 국비 비율은 11%, 경기장은 51곳으로 제시했지만, IOC는 여전히 개최지 요건을 공식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상태다.
정 의원은 “IOC는 ‘2036년’이라는 연도 표기를 자제해 달라고 했지만, 전북도는 여전히 ‘2036 전주올림픽’이라는 명칭으로 홍보를 이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올림픽은 선언이 아니라 준비에서 시작된다”며 “전북도는 숨기고, 체육회는 뒷짐만 진다면 유치 추진은 구호에 불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체육회는 조율기관으로서 계획 일정과 자문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유치 추진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승렬 기자 ottnews@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