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용인특례시의회 박은선 의원(보정·죽전·상현/국민의힘)은 24일 열린 제296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학교 밖 생활권에서 발생하는 아동 유괴 위험 대응을 지자체가 직접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은선 의원은 최근 초·중학생 대상 유괴 시도가 잇따르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며, 2025년 1~8월 전국에서 발생한 미성년자 유괴·유인 사건 173건 중 초등학생 피해자가 130명에 달하고, 그 절반 이상이 학교와 집 사이 생활권에서 발생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하교 시간대 사건이 전체의 60%를 차지하며, 아동 유괴에 걸리는 시간이 단 35초에 불과하다는 점을 들어 지자체 중심 상시적·체계적 대응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박 의원은 용인시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4대 과제로 ▲등·하교 도우미 및 보행안전지도사 확대 ▲아동안전지킴이집 관리 강화 ▲아동보호구역 제도화 ▲지속 가능한 아동 안전 대응체계 구축을 제시했다.
그는 “현재 용인시에는 49명의 보행안전지도사가 활동 중이나, 전체 학교 수와 지역 규모를 고려하면 턱없이 부족하다”며 읍·면 단위 직접 배치와 예산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일부 아동안전지킴이집이 실효성을 갖지 못하고 있어 위치 안내 지도 제작과 학교별 취약지역 중심 확대 지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CCTV 확충, 통학로 사각지대 점검, 유해환경 정비 등 지자체 주도의 중·장기 종합 대응체계 구축과 함께, 호신용 호루라기 등 실질적 대응 도구 보급을 통해 아동 안전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박 의원은 “시민이 신뢰할 수 있는 용인시를 만들고, 아이들이 안전하게 등교하고 귀가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드는 데 끝까지 함께하겠다”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