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화자산운용]
[사진=한화자산운용]

|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한화자산운용이 글로벌 투자자들의 정보 접근성 향상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았다. 한화자산운용은 2025 K-ESG 경영대상에서 ‘고용노동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24일 밝혔다.

한화자산운용은 고객의 자산을 관리하는 수탁자로서 책임투자 실현에 앞장서며 2020년부터 수탁자 책임 활동의 일환으로 주주활동(Engagement)을 적극적으로 이행하고 있다.

2021년부터는 투자자에게 책임투자 현황을 보고하는 ‘책임투자 보고서’를 매해 발간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국내외에서 스튜어드십 코드(수탁자 책임 원칙)에 대한 이행점검을 강화하는 추세를 반영해 민간 자산운용업계 최초로 영문 책임투자 보고서를 발간했다.

2024년 하반기에는 산업안전 및 중대재해, 정보보안 등 사회(S) 관련 이슈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자연자본, 순환경제, AI(인공지능)윤리, 기업윤리(횡령, 배임 등), 기업가치(밸류업 공시) 등 다양한 ESG 테마를 가지고 주요기업에 주주서한을 발송했다.

아울러, 지난해 말 ‘대한민국 대표 글로벌 자산운용사’를 전사적 경영 목표로 수립한 후, 핵심 과제로 고객에 대한 알파(α) 창출, 투자 및 업무 프로세스 고도화, 인재육성 및 역량강화, 조직문화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장기근속 포상제도, 성과에 따른 격려금 제도 등 적극적인 성과보상제도를 운영해 임직원의 만족감을 증진하는데도 힘쓰고 있다.

또한 ESG·신성장 사업 중심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금융산업 발전과 고용 안정에 기여해왔다. 채용연계형 인턴십을 통해 청년 고용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고, 책임투자 관련 상품 확대 및 대체부문 신규 투자 전략 발굴에 따라 일자리를 추가 창출하는 등 신규 고용 확대, 청년 인재 육성, 전문인력 채용 측면에서 국가 고용정책에 부응하고 있다.

AI(인공지능) 데이터인프라 고도화를 전사적으로 수행 중이다. 전사적 AI 사무환경 도입을 통해 더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테마의 온라인 교육, 리더십 및 승진자 교육, 워크숍 등을 통해 임직원 역량을 강화했다.

김종호 대표는 “ESG를 자산운용사 입장에서 특화 시킬 방법론으로 국내 운용사 최초로 ESG평가 모형을 마련, 일시적 트렌드가 아닌 운용철학으로 내재화 시키는데 집중했다. 당사는 자산운용업계 책임투자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는 자긍심으로 다양한 활동을 실천해 오고 있다”고 밝혔다.

최천욱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