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지역 맞춤형 산불 대응 매뉴얼 및 복원체계 마련
국가유산별 위험도 평가와 맞춤형 보호시스템 구축 박차
경북도의회  김대일 의원,  산불 대응체계 개선 및 문화유산 보호방안 연구용역 추진 사진=경북도의회 제공
경북도의회  김대일 의원,  산불 대응체계 개선 및 문화유산 보호방안 연구용역 추진 사진=경북도의회 제공

|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경상북도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정책연구위원회(대표 김대일 의원) 는 대형 산불로 인한 피해를 계기로  ‘지역 산불 대응체계 개선 및 문화유산 보호방안 연구용역’ 을 추진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지난 봄 안동·의성·영덕 일원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 이후, 대응체계의 한계와 문화유산 보호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불 대응과 복원체계 전반을 분석하고, 문화유산과 산림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보호·복원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목표다.

연구는 지난 9월 착수해 현재 중간보고회를 준비 중이며, 국가유산·소방방재 전문가가 추가 참여해 실효성 있는 정책 대안을 모색 중이다. 주요 내용은 ▲피해지역 대응 실태 분석 ▲첨단 진화장비 도입 방안 ▲법·제도 개선 ▲주요 국가유산 위험도 평가 및 맞춤형 보호체계 구축 등이다.

김대일 의원은 “경북 실정에 맞는 산불 대응 매뉴얼과 문화유산 보호 제도 마련에 힘쓰겠다”며 “연구 성과가 현장에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책연구위원회는 김대일 대표의원을 비롯해 김용현, 남영숙, 박선하, 이철식, 최덕규 의원 등 6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의회 차원의 정책 제안과 조례 제정으로 이어갈 방침이다.

경북은 산림면적이 전국 최대 규모로, 산불 대응력 강화와 문화유산 보호는 지역의 생존과 직결된 과제다. 이번 연구용역이 단순한 보고서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제도 개선과 기술 도입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손철규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