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 회담을 할 수도, 안 할 수도 있다는 발언에 양국 정상의 회담이 불발될 수 있다는 경계심이 높아지면서 21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 주가 지수가 혼조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18.16포인트(0.47%) 오른 46,924.7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22포인트(0.00%) 오른 6,735.35에, 나스닥종합지수는 36.88포인트(0.16%) 밀린 22,953.67에 각각 장을 닫았다.
다우 지수는 장 중 사상 최고치를, 종가 기준으로도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반면 기술주는 약세를 보였다.
특히 애플은 시가 총액 4조달러를 눈앞에 뒀다. 그간 애플은 오픈AI의 등장 이후 증시를 휩쓸었던 인공지능(AI) 테마에서 소외됐었다. 하지만 AI거품론이 대두되고 아이폰 17에 대한 기대감이 유지되면서 증시에서 존재감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애플이 시총 4조달러를 넘어서면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사상 세 번째가 된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하락세로 돌아섰다. 트럼프는 이날 중국에 대해 “나는 2주 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날 예정이고 우리는 한국에서 만나 많은 것을 이야기할 것”이라면서도 “어쩌면 (회담이) 성사되지 않을 수도 있고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기술주가 큰 낙폭을 보인 가운데 최근 강세를 보이던 알파벳은 장 중 4% 넘게 하락하다, 2%대로 낙폭을 줄였다.
장 마감 후 발표된 넷플릭스 3분기 실적은 시장의 예상를 밑돌았다. 넷플릭스는 3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5.87달러, 매출은 115억1천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영업이익률은 가이던스(31.5%)보다 낮은 28%를 기록했는데 브라질 세무 당국과의 분쟁 비용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여파로 넷플릭스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5% 넘게 떨어지고 있다.
아마존은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 AWS가 전날 대규모 '먹통' 사태를 겪은 이후 이날 주가가 오히려 2.56% 올랐다. 먹통 사태는 예상보다 많은 기업이 아마존의 AWS에 의존하고 있었다는 점을 보여줬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최천욱 기자 acnhss7@sporbiz.co.kr
관련기사
- [뉴욕증시] 3대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 근접…동반 상승 마감
- [뉴욕증시] 美 지방은행 부실 악몽 ‘스멀스멀’…하락 마감
- [뉴욕증시] 미중 갈등 여전, 시장 예상 웃돈 은행 실적…혼조 마감
- [뉴욕증시] ‘이랬다 저랬다’ 트럼프 발언에 ‘올랐다 내렸다’
- [뉴욕증시] 트럼프, “中과 정면충돌 원하지 않는다” 유화 메세지…급락 하루 만에 반등
- [뉴욕증시] 美, 中 희토류 수출 제한에 소프트웨어로 ‘맞불’…하락 마감
- [뉴욕증시] 美 백악관 “트럼프, 시진핑 만난다”…강세 마감
- [뉴욕증시]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에 3대 주가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 경신 마감
- [뉴욕증시] 6G 통신망 건설 추진 엔비디아 ‘AI 거품론’ 불식…3대 주가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 경신
- [뉴욕증시] 美 연준, 기준금리 0.25%p 인하…12월 추가 인하 기대감 ‘뚝’…혼조 마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