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정권 교체 후 4개월 만에 승인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한스경제=전시현 기자 | 국회에서 세계 최대 가상자산거래소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를 둘러싼 의혹이 제기됐다.

2년 넘게 검토했던 인수 건이 정권 교체 후 4개월 만에 승인됐고 고팍스 최고 임원이 정부 고위 공직자의 아들이라는 점이 도마 위에 올랐다.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고팍스 부대표가 이재명 정부의 고위 공직자 아들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제보에 따르면 이 부대표가 대표로 올라가는 조건으로 금융위원회가 승인을 해줬다는 풍문이 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지난 15일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를 최종 승인했다. 바이낸스는 2023년 고팍스 지분을 인수하며 대주주 변경 신고를 한 지 2년 7개월 만이다. 김 의원은 "2년 넘게 신중히 검토하던 금융위가 왜 정권이 바뀌고 4개월 만에 승인을 했느냐"고 따졌다.

특히 바이낸스를 둘러싼 자금세탁 의혹도 쟁점으로 떠올랐다. 김 의원은 "캄보디아 사태의 범죄 배후로 지목되는 프린스그룹이 바이낸스를 통해 돈세탁을 했다는 것이 미국 재무부와 법무부 공식 자료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바이낸스는 지난 2023년 말 미국 법무부로부터 자금세탁 방지 의무 위반 등의 혐의로 43억달러(약 5조5000억원)의 벌금을 부과받고 미국 시장에서 퇴출됐다. 창업자 자오창펑은 자금세탁 방조 혐의로 징역 4개월을 선고받았다.

김 의원은 "고위 공직자의 아들이 최고 임원으로 등재된 상황에서 4개월 만에 승인이 나고 바이낸스가 캄보디아 사태의 배후인 프린스그룹의 자금세탁에 사용됐다면 문제가 크다"며 "금융위원회가 정확하게 알아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금시초문"이라며 "바이낸스가 자금세탁이나 미국 정부로부터 받은 제재 부분, 임원의 개인적인 결격 문제가 해소돼서 신고 수리가 됐다고 보고받았다"고 답변했다. 이어 "바이낸스가 미국 정부에 소명하고 재허가를 받아 그런 부분이 치유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도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를 문제 삼았다. 민 의원은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는 고파이 피해자를 변제하겠다고 한 전형적 무자본 M&A인데 아직 변제를 하지 않았다"며 "앞으로 거래소 면허 갱신 등에서도 금융위원회가 권한을 갖고 있는 만큼 고파이 피해자 변제의 마무리를 잘 지어달라"고 당부했다.

고팍스는 2022년 '고파이' 사태로 약 1400억원의 미지급금이 발생했으며 바이낸스는 인수 조건으로 이를 상환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전시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