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이현령 기자 |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법인·연구비카드를 부적절하게 사용한 사례가 다수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가 연구개발 기관의 관리·감독 체계 전반이 작동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1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최근 2년간 두 과학기술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GIST 자체 감사에서는 법인·연구비카드 부정사용 사례가 91건으로 집계됐다. KAIST에서도 법인카드 19개를 이용해 110억 원을 결제한 연구원 등 3명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이다.
우선 GIST는 지난해 7월 자체 특별감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법인·연구비 카드를 사적으로 사용한 연구원 4명과 유흥성 비용을 집행한 1명을 적발했다. 부정사용 금액은 총 1258만 5420원 규모였다.
GIST는 연구원 4명을 해임 조처한 후 경찰에 넘겼다. 유흥성 비용을 집행한 1명은 감봉 처분을 내렸다.
해당 연구원들은 부정사용을 감추기 위해 회의록과 업무추진비 집행내역서를 허위로 작성했다. 특히 회의록 조작이 상습적으로 이뤄졌다. 이들은 출장이나 휴가 중인 직원을 참석자로 기재하거나 같은 시간대 다른 회의에 참석 중인 인원의 이름을 중복으로 기재하는 방식을 이용했다. 일부 연구원은 영수증만 제출한 뒤 부하 직원에게 허위 회의록 작성을 지시했다.
KASIT는 지난해 12월부터 연구비카드 부정사용 의혹에 대한 특별감사를 진행 중이다. KAIST에 따르면 한 연구원은 2022년 4월부터 지난 8월까지 총 6500건을 부정 사용해 110억 원을 결제했다. 해당 연구원은 법인카드 19개 돌려막기와 상품권을 구매한 후 다시 판매해 현금화하는 '상품권깡' 방식을 이용했다.
KAIST는 이 연구원의 미납 카드 대금 약 9억 원을 선납 후 현재 구상권 청구 등 법적 조치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 의원은 “일부 연구원의 일탈이 아니라 과기원은 물론 과기부의 관리·감독 부실에 따른 구조적 문제”라며 “특히 부정사용이 반복되고 있는 GIST에서는 총장이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령 기자 box0916@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