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주진 기자 | 상시근로자가 많은 국내 상위 20대 기업 중 13곳이 민간의 장애인 고용률 법정 기준(3.1%)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학영 의원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기준 전체 민간기업 평균 장애인 고용률은 3.03%였지만, 상시근로자 1000명 이상 대기업군의 고용률은 2.97%에 불과했다.
국내에서 상시 근로자가 가장 많은 삼성전자는 작년 장애인 고용률이 1.95%로 의무고용률을 크게 밑돌았고, 그다음으로 상시근로자가 많은 현대자동차는 고용이 늘었음에도 장애인 고용률은 5년 전보다 오히려 후퇴했다.
상시근로자 3위 쿠팡풀필먼트서비스와 5위 기아는 작년 장애인 고용률이 각각 3.11%, 3.31%로 법정 기준을 충족했다. 6위 SK하이닉스도 작년 3.34%로 의무고용률을 넘겼다.
반면 4위 LG전자와 7위 이마트는 작년 장애인 고용률이 각각 2.62%, 2.82%로 법정 기준을 맞추지 못했다.
상시 100명 이상 기업이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못 지키면 1인당 125만8000원에서 209만6000원의 고용부담금이 부과된다. 작년에 장애인 고용률 미달로 고용부담금을 낸 민간기업 상위 20곳의 부담금 합계만 943억여원에 달했다.
이학영 의원은 "장애인 의무고용은 우리 사회가 기업에 기대하는 최소한의 책임"이라며 "대기업이 가진 영향력만큼 그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진 기자 jj72@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