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김현경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미·중 갈등에 대응해 올해 2월부터 운영 중인 '관세 대응 119 종합상담실'의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의 상담 수요는 급증했지만, 실제 지원으로 이어지는 비율은 낮았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2월부터 9월까지 접수된 관세 관련 비대면 상담은 총 7936건으로, 이 중 전화 상담이 4169건, 온라인 상담이 2965건이었다. 문의 유형별로는 관세확인이 5568건(70%)으로 가장 많았다.
상담 건수는 4월 초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관세 조치 발표 직후 급증했다. 3월 말 222건에 그쳤던 비대면 상담이 4월 첫째 주 574건, 둘째 주 801건으로 2주 만에 3.6배 늘었다. 관세율 산정과 원산지 규정 등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의 대응 문의가 집중된 것이다.
그러나 실제 코트라의 심층 컨설팅으로 이어진 기업은 710개 중 15개(2.1%)에 불과했고, 수출바우처 지원으로 연계된 기업도 95개(13.4%) 수준이었다. 코트라는 "컨설팅은 별도 예산과 신청 절차가 있어 지원 규모에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김원이 의원은 "수출 기업은 단순 상담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촘촘한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며 "상담과 지원을 연계한 원스톱 체계와 바우처 접근성 확대를 마련해야 한다다"고 강조했다.
김현경 기자 khk@sporbiz.co.kr
김현경 기자
khk@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