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매향리의 총성은 멈췄지만, 이제는 평화와 생태의 울림으로 되살릴 때다.”
경기도가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를 위한 전면적 실행체계 점검에 들어가며, 20년 가까이 멈춰 있던 화성 매향리 사격장 개발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14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열린 ‘경기도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추진 전담조직(TF) 제2차 회의’에는 의정부·파주·동두천·하남 등 경기북부 4개 시와 함께 화성시가 유일하게 남부지역에서 포함됐다.
김대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에는 관련 실·국장과 5개 시 부단체장, 경기도의회 조성환 기획재정위원장과 이영봉 의원, 경기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그동안 경기북부 중심으로 추진돼온 미군 공여지 개발정책의 지평을 도 전역으로 확대한 첫 회의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경기도는 향후 10년간 3,000억 원 규모의 공여구역 개발기금을 조성해 토지 매입과 기반시설 조성비를 직접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KTX 파주 연장, GTX-C 동두천 연장 등 교통 인프라 확충과 세제·규제 완화도 병행해 사업 여건을 대폭 개선할 계획이다.
김대순 부지사는 “미군 공여지는 오랫동안 지역 발전의 걸림돌로 남아 있었지만, 이제는 새로운 성장 거점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의정부·파주뿐 아니라 화성 매향리 같은 남부 반환부지도 함께 발전축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결국 북부의 산업거점화와 남부의 평화·생태 복원사업을 병행하는 ‘투트랙 균형발전 전략’이 경기도 공여지 정책의 새로운 방향으로 자리 잡게 됐다..화성시 매향리는 과거 주한미군 폭격훈련장으로 사용되던 지역이다.
미군은 2005년 철수했고, 해당 부지는 정부에 반환됐지만 토양오염·군사보호구역 지정·토지이용 제한 등의 복합적 규제로 20년 가까이 개발이 지연돼 왔다.
일부 지역은 매향리 평화생태공원 조성사업이 추진 중이지만, 본격적인 환경정화와 토지이용계획 수립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이번 TF를 계기로 경기도는 매향리 반환지를 포함한 도내 모든 공여구역의 환경정화·활용계획 수립·복원사업 지원을 통합 관리하는 종합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매향리의 경우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 오염토양 정화, 토지이용계획 수립이 함께 이뤄져야 실질적 개발이 가능하다”며 “이번 TF는 그 첫 단추를 꿴 셈”이라고 설명했다.
경기도에는 현재 22개소, 72㎢ 규모의 미군 반환공여구역이 존재한다. 이 중 40%에 해당하는 29㎢가 20년 이상 미활용 상태로 남아 있다.
도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기 미반환 공여구역 국가 지원 확대를 위한 입법지원단’을 신설했다.
입법지원단은 균형발전기획실장을 단장으로 도와 시·군, 법률전문가가 참여해 관련 법령 제·개정 및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
특히 의정부·동두천 지역 국회의원들과 협력해 국가 재정지원 확대를 추진하고, 지방세 감면·개발 인센티브·군사보호구역 완화 등 제도개선 패키지도 병행 검토한다.
김대순 부지사는 “공여지 문제 해결은 단순한 개발을 넘어,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고 국가균형발전의 토대를 만드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매향리 사격장은 과거 미군 폭격 훈련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주민 피해의 상징지로 남았다.
2000년대 초반까지 이어진 사격훈련으로 인해 토양과 해양이 오염되고, 지역 주민들은 소음·피해 보상 등을 두고 오랜 기간 갈등을 겪어야 했다.
하지만 이제 매향리는 ‘평화와 생태의 공간’으로 재탄생하는 전환점에 섰다.
경기도는 북부 공여지의 산업적 개발과 남부 매향리의 평화생태 복원을 양축으로 삼아 ‘균형발전과 재생의 상징 모델’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김 부지사는 “공여지 재생은 과거의 아픔을 미래의 기회로 바꾸는 과정”이라며 “매향리의 복원은 전쟁의 흔적을 평화의 공간으로 되살리는 역사적 전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