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주도의 안전정책 모범 사례
안동시가 CCTV 영상정보통합센터.사진=안동시 제공
|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안동시가 CCTV 영상정보통합센터를 중심으로 지자체 주도의 선제적 치안행정 모델을 구축하며 ‘안전도시 안동’ 실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안동시 영상정보통합센터는 지난 9월 12일 오후 9시 48분경, 안흥동 일대 CCTV 모니터링 중 흉기를 소지한 남성의 수상한 행동을 포착해 즉시 경찰에 신고, 현행범 검거로 이어지는 성과를 거뒀다. 이는 실시간 관제 시스템이 범죄 예방에 직접 기여한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올해 들어 안동시 관제요원들은 범법자 검거, 실종자 및 가출자 조기 발견 등 총 23건의 사건을 사전에 탐지·대응하며, 신속한 현장 연계로 피해 확산을 막았다. 이 중 5명의 관제요원이 시민 안전에 기여한 공로로 안동경찰서장 감사장을 받았다.
안동시 영상정보통합센터는 현재 4,170대의 CCTV를 20명의 관제요원이 4조 3교대 체계로 365일 24시간 운영하고 있다. 센터는 방범·교통·재난 등 다양한 분야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제하며, 이상 상황 발생 시 즉시 경찰·소방 등 관계기관과 공조 체계를 가동한다.
시는 앞으로 AI 영상분석 기술과 지능형 관제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도입해, 효율성과 정확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시민 참여형 안전 네트워크를 확대해 ‘시민과 함께 만드는 스마트 치안도시’로 발전시킨다는 목표를 세웠다.
안동시 관계자는 “지자체가 주도하는 CCTV 관제 행정이 시민의 실질적 안전망으로 작동하고 있다”며 “유관기관과의 협업 체계를 더욱 고도화해, 범죄와 재난으로부터 시민을 지키는 도시 안동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안동시는 지방정부 차원에서 치안정책을 행정의 한 축으로 끌어올린 사례다. 특히 CCTV 통합관제가 단순한 감시가 아닌 데이터 기반의 예방 행정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향후 AI·빅데이터를 결합한 스마트 치안 체계로 발전한다면, 안동은 지역 안전행정의 ‘표준 모델’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손철규 기자 sonck55@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