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방위 국감에서 질의 응답을 주고받는 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왼쪽)과 황정아 위원./국회TV 유튜브
과방위 국감에서 질의 응답을 주고받는 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왼쪽)과 황정아 위원./국회TV 유튜브

| 한스경제=석주원 기자 | 국정감사 2일째인 14일 과방위에서는 카카오톡 업데이트 논란이 도마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위원은 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을 증인으로 불러 카카오톡 업데이트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질의했다.

황정아 위원은 "카카오톡이 최근 큰 업데이트를 하고 국민의 공분을 사고 있다. 미성년자 자녀를 키우는 입장에서 숏폼 강제 송출은 당황스러웠다"며 "업데이트 한 번에 시가총액이 3조원이 날아갔고 앱 평점은 1.0점을 찍었다. 그런데도 아직까지 롤백을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 위원은 카카오톡이 본질적인 서비스를 변경화는 과정에서 소비자에 대한 고지가 일절 없었고 미성년자들에게 숏폼을 강제로 시청하게 만든 점을 문제 삼았다. 특히 미성년자 사용자의 숏폼 기본 옵션이 '켜기'로 되어 있다는 점을 비판했다.

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은 "이용자들의 불편 사항과 개편 요구 사항에 대해 잘 알고 있고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 조만간에 개선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업데이트를 주도적으로 추진한 것으로 알려진 홍민택 카카오 CPO에 대한 질타도 이어졌다. 황 위원은 홍 CPO 측이 나무위키에 기재된 비판 내용 삭제를 요구한 자료를 제시하며 "(카카오톡을) 이전 버전으로 돌리는 건 몇 개월이 지나도 안된다고 하면서  이용자들의 비판을 막으려는 움직임은 전광석화 같다"고 꼬집었다.

우 부사장은 카카오톡을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는 작업과 관련해서는 기술적으로 어렵다고 들었다며 사실상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는 건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정했다. 다만 우 부사장은 항간의 소문처럼 이미 체결한 광고 수익 때문에 롤백이 어렵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고려 사항이 아니라며 선을 그었다.

한편 카카오측은 카카오톡 친구탭 첫 화면을 '친구목록'으로 되살리고 피드형 게시물을 별도의 '소식' 메뉴로 제공하는 업데이트를 올해 4분기 내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석주원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