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교육부 평가 공교육 혁신·인공지능 인재양성 등 높은 평가
지역특화산업 연계 인재양성 모델…국비 최대 10억 특전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지난해 3월14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교육발전특구 협의회’에 참석해 참석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광주광역시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지난해 3월14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교육발전특구 협의회’에 참석해 참석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광주광역시

| 한스경제=신홍관 기자 | 광주광역시가 교육부 주관 ‘2024년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운영 성과관리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A등급을 받아 10억 원의 추가 사업비를 신청할 수 있게 됐다.

‘교육발전특구 시범 사업’은 공교육 혁신을 통해 지역 인재를 양성하고 정주 여건을 개선해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사업으로, 교육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지난해 처음 도입했다.

이번 평가는 해마다 각 지역의 운영 성과를 점검해 우수지역에는 특전(인센티브)을 제공하고, 미흡 지역은 개선을 유도함으로써 지역 맞춤형 교육발전 모델을 정착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평가에서 ▲공교육 혁신을 통한 수요자 맞춤형 인재 양성 ▲지역특화산업과 연계한 인재양성 및 취업·창업 지원 강화 ▲‘광주형 인공지능(AI) 인재 성장 사다리’ 연계를 통한 인공지능(AI)·디지털 인재 양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교육부는 “시장과 교육감이 공동위원장을 맡고 35개 기관이 참여한 교육발전특구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는 등 운영시스템이 우수하다”고 평가하는 등 광주를 ‘가장 모범적인 교육발전특구 운영도시’로 꼽았다.

강기정 시장은 “전남대와 조선대의 글로컬대학 선정에 이어 교육발전특구 평가에서도 최고의 성과를 거둔 것은 광주가 교육을 미래성장동력의 중심에 두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교육발전특구를 통해 통합돌봄, 인공지능(AI)·미래차 등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지역 정주형 인재 양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신홍관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