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허영 "거리제한 폐지 후 과밀 출점 경쟁, 자율규제 기준 마련 필요"
| 한스경제=김현경 기자 | 상위 10개 커피 프랜차이즈 본사의 영업이익이 최근 5년간 140% 급증한 반면, 가맹점 수익은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대비 2024년까지 본사의 평균 매출은 131%(892억원→2062억원), 영업이익은 140%(102억원→245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가맹점 수는 평균 98.3% 증가했지만, 평당 매출은 1499만원에서 1522만원으로 1.5%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 기간 가맹점 폐업률은 2.4%에서 4.6%로 2.2%p 상승했다.
본사는 가맹비, 교육비, 물품 공급 마진 등으로 출점 수가 늘수록 수익이 커지는 구조지만, 거리 제한 규제 폐지 이후 과밀 출점이 가맹점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실제 최근 일부 저가 커피 브랜드는 3000호점 돌파 경쟁에 나서며, 매장 간 거리가 200m도 채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허 의원은 "공정위가 2012년 동일 브랜드 간 신규 가맹점 출점을 500m 이내로 제한하는 모범거래기준을 도입했지만, 2014년 폐지된 이후 업계는 무제한 출점 경쟁으로 흘렀다"며 "본사는 단기 출점 경쟁을 멈추고, 가맹점과의 상생을 위해 상권 포화도와 거리 제한을 반영한 자율 규제 기준을 즉각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경 기자 khk@sporbiz.co.kr
관련기사
김현경 기자
khk@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