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제3회 남북교류협력위원회’ 열고 기금 운용·협력사업 심의
농업·산림·문화관광 등 경북 특화분야 중심 18개 사업 발굴
 경상북도 남북교류협력위원회 개최 .사진=경북도 제공
경상북도 남북교류협력위원회 개최 .사진=경북도 제공

|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경상북도는 13일 도청에서 ‘제3회 경상북도 남북교류협력위원회’를 열고, 2026년 남북교류협력기금 운용계획과 남북교류협력사업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회의에는 김학홍 행정부지사를 비롯해 관계 전문가 등 20여 명의 위원이 참석해 남북교류협력기금(약 100억 원)의 내년도 운용 방향과 존속기간 연장, 기금 사용 용도 확대 등을 논의했다.

또한 경북도의 강점 분야를 반영한 남북교류협력사업 18건이 심의 안건으로 상정됐다. 주요 사업으로는 ▲경주세계문화엑스포 남북교류사업 추진 ▲북한 목판 공동 조사·연구 ▲환동해 크루즈 관광 활성화 ▲남북 청소년 교류 프로젝트 ▲북한 황폐산림 복구사업 ▲남북 협력 ‘천년건축 시범마을’ 조성 ▲남북공동 6·25 전사자 유해발굴 등이 포함됐다.

경북도는 이번 회의를 통해 농업·산림·문화관광 등 지역의 대표 산업을 기반으로 남북 간 상생 협력의 구체적 사업 모델을 제시하고, 향후 중앙정부의 남북 대화 재개 국면에 대비해 실질적인 교류 기반을 강화할 방침이다.

김학홍 행정부지사는 “남북 관계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대통령께서 제시한 ‘END 이니셔티브’(End the North Korean threat)를 중심으로 중앙정부의 정책에 발맞춰 경상북도만의 남북협력 모델을 준비하겠다”며 “2025 APEC 정상회의가 경제를 넘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새로운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경북도의 이번 남북교류협력위원회 개최는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 ‘지방정부 차원의 평화협력 준비’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농업·산림·문화 등 경북이 강점을 가진 분야를 중심으로 실질적 교류안을 마련한 것은 의미가 크다. 다만 남북관계 경색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중앙정부와의 긴밀한 조율, 지속적인 정책 일관성이 필요해 보인다.

손철규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