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김우영 의원 "GPU 추가 물량, 전력·냉각 인프라 병목 우려"
"구체적 설치 물량 및 인프라 구축 계획 마련해야"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 내  서버 모습/네이버 제공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 내  서버 모습/네이버 제공

| 한스경제=이성철 기자 | 정부가 추진하는 대규모 GPU(그래픽처리장치)확보 계획이 전력 공급 및 냉각 시스템, AI 전용 상면(공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우영 의원은 "GPU 확보만으로는 AI 경쟁력을 완성할 수 없다"며 GPU와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포괄하는 정책 지원을 촉구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총 5만장의 GPU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확보된 1만3000장 중 약 1만장은 NHN, 카카오, 네이버 등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의 데이터센터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예정이다. 

나머지 약 3000장은 기업이 자체 활용할 계획이며 현 물량 배치는 문제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수도권에 GPU 클러스터가 집중될 경우 향후 추가 물량 확보 시 전력 및 냉각 시스템 확충 없이는 효율적인 수용이 어렵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GPU라는 하드웨어 구매만으로 AI 인프라가 완성된다는 시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 의원실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26년 목표인 2만장의 GPU 설치를 위해서는 최소 30~40MW, 2030년 목표인 5만장에는 112MW 이상의 전력이 필요하다. 

최신 AI 가속기 GPU는 서버당 10kW 이상의 전력이 요구된다. 대부분 20~40kW급 전력과 고효율 냉각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수도권 데이터센터의 상당수는 저밀도 공랭식 구조로 설계돼 고밀도 전력과 고효율 냉각을 요구하는 최신 AI 서버에 적합한 'AI-Ready 상면'을 즉시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정부의 GPU 확보 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국회에서 논의중인 'AI 데이터센터 진흥 특별법'에 정부가 적극 참여해 국내 AI 데이터센터 구축 및 GPU 가동에 필요한 AI-Ready 상면 확보 지원에 힘써야 한다"며 "AI 데이터센터 장비 및 소프트웨어 국산화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수도권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전력 수급이 원활하고 부지 확보가 용이한 비수도권에 대규모 '국가 AI 컴퓨팅 센터'를 구축하고 전력망 연결 및 인허가 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이밖에도 장기적으로 민관 협력을 통해 AI 전용 데이터센터 건설을 제안했다.

이성철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