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제작된 기존 심벌·도시브랜드·캐릭터 폐기, 시 캐릭터는 ‘조아용’으로 일원화
첨단산업 중심·시민 통합·지속가능 도시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
이상일 시장 “110만 도시의 웅비를 상징하는 브랜드로 광역시 도약 이끌 것”
|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는 28년 만에 도시의 새로운 정체성과 비전을 담은 ‘통합도시브랜드’를 선보였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9월 27일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린 ‘제30회 시민의 날’ 행사에서 도시브랜드 선포식을 열고, 첨단산업 중심도시로의 도약과 시민 통합의 의미를 담은 새로운 상징물을 공개했다.
이번 통합도시브랜드는 1997년 제작된 기존 심벌마크(CI)와 도시브랜드(BI), 시 캐릭터를 모두 교체한 것으로, 급변하는 시대와 글로벌 반도체 중심도시로 성장한 용인의 비전을 반영했다. 기존 캐릭터 ‘철쭉이’는 폐기되고 시민에게 친숙한 ‘조아용’이 공식 캐릭터로 지정됐다.
새 브랜드는 용인의 ‘용(龍)’자를 모티브로 한 중심 형상과 상·하단의 원으로 구성됐다. 상단 원은 인구 150만 광역시로 성장하는 용인의 미래를, 하단 원은 첨단 반도체 산업 중심 도시를 상징한다. 중심부의 ‘용’ 형상은 첨단산업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표현하며, 활기찬 시민의 모습을 함께 담았다.
색상 구성은 ▲자주색(창의성과 역동성) ▲보라색(미래도시와 첨단산업) ▲청록색(자연과 기술의 공존)을 사용해, 용인의 역동적인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을 시각화했다.
시는 이번 작업을 위해 지난해 3월 상징물 디자인 정비 용역을 착수하고,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1기 시민디자인단’을 운영했다. 이어 6월 실시한 선호도 조사에서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디자인을 확정했으며, 지난 9월 10일 관련 조례 개정을 통해 공식 브랜드로 채택했다.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1997년 제작된 기존 심벌과 브랜드는 오늘의 용인특례시를 담기엔 한계가 있었다”며 “110만 인구의 글로벌 반도체 중심도시로 성장한 용인의 비전과 시민의 열망을 새 브랜드에 담았다”고 강조했다. 이상일 시장은 이어 “통합도시브랜드와 캐릭터 ‘조아용’이 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광역시 도약을 향한 용인의 웅비를 상징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