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경상북도가 사용후 배터리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며 2025년을 산업 도약의 원년으로 삼고 있다.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미래 유망 산업으로 부상한 사용후 배터리 산업은 폐배터리를 재사용하거나 유가금속을 회수·재활용하는 분야로, 환경적 지속 가능성과 경제적 효과를 동시에 창출할 수 있다. 또한, 핵심 원료의 공급망 안정화와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도는 2019년부터 '포항 차세대 배터리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를 운영하며 산업 기반을 조성해왔다. 사용후 배터리 회수, 성능 평가, 등급 분류, 재사용 기준 마련을 위한 법령 개정 및 산학연 거버넌스 구축 등 신산업 육성의 기틀을 다졌다. 2021년에는 순수 지방재정으로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 이차전지 종합관리센터를 개소했으며, 2023년에는 이차전지 특화단지 및 전기차 배터리 녹색융합 클러스터로 지정되는 등 산업 생태계 확장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러한 선제적 노력은 2025년 본격적인 결실을 맺을 전망이다. 올해 3월 환경부, 경북도, 포항시는 배터리 순환이용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급성장하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재활용 시설을 경북에 유치했다.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는 환경부 국가시설인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가 연내 구축될 예정이다. 이 시설은 재활용 핵심기술 개발(R&D), 실증 테스트베드 운영, 기업 지원 등 국가 핵심 거점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12월에는 사용후 배터리 인라인 자동평가센터가 문을 열어 성능 평가 능력이 하루 1대에서 150대로 확대되며, 산업의 효율성과 경쟁력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 인프라 확충과 더불어 국제 교류의 장도 마련된다. 오는 11월 3일부터 5일까지 포스텍에서는 '제1회 국제 배터리 엑스포 2025 포항'이 개최되어 경북이 배터리 선도도시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할 예정이다. 특히 EU 배터리법 시행에 맞춰 독일, 노르웨이, 핀란드 등 유럽 주요국과 협력체계를 강화하며 탄소중립과 글로벌 표준 대응에도 앞장설 계획이다.
전문기관에 따르면 2050년 사용후 배터리 글로벌 시장 규모는 600조 원에 이를 전망이다. 이에 정부와 업계는 국정과제 반영, 법·제도 정비, 투자 확대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사용후 배터리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사회적 기반은 아직 미흡하다"며, "경북은 미래를 내다보며 착실히 기반을 닦아온 만큼, 앞으로 쏟아질 산업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충분한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사용후 배터리 산업을 미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며 '에너지 순환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손철규 기자 sonck55@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