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곤 의원 "설계·운영·점검 전 과정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안전을 보완해야"
| 한스경제=이성철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ESS(에너지저장장치) 안전성에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지난 5년새 50여건이 넘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ESS는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공급하는 장치로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의 핵심 기반시설로 꼽힌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5년 6개월간 ESS 화재는 총 54건으로 집계됐다.
발화 원인으로는 ‘불명(미상)’이 21건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적 요인(과부하·누전 등) 17건, 기계적 요인(과열·과부하 등) 10건, 화학적 요인(폭발 등) 4건이 뒤를 이었다.
특히 소실된 11건을 제외한 43건 모두 국산 배터리에서 발생했다.
삼성SDI 제품이 17건으로 가장 많았고 LG에너지솔루션 8건, SK온 모기업 SK이노베이션 배터리에서 1건이 보고됐다.
이 같은 화재 건수 차이는 업체별 공급 물량 차이와도 무관치 않다.
정부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본격 추진하면서 ESS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안전 관리 체계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대규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와 관련 위 의원은 "ESS는 재생에너지 보급의 필수 장치인 만큼 단순 확대를 넘어 안전 운영이 가능하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국민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설계·운영·점검 전 과정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안전을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성철 기자 leesc@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