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석주원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로 인한 시스템 장애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회의를 열고 이번 추석 연휴를 정부 시스템 복구의 골든타임으로 삼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윤호중 행정안전부(행안부) 장관은 “연휴 동안 행정 서비스와 안전 관리에 공백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추석 당일을 제외한 연휴 기간에도 중대본 회의 개최와 현장 점검 실시하고 정부 시스템의 근본적 안정성 강화를 위해 국가 주요 시스템 및 운영 시설의 안정성 정비와 개선책을 병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정자원에는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 등 약 800여명이 현장에 투입돼 복구 작업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국정자원 대전센터의 전반적인 복구와 화재피해가 컸던 7-1 전산실 시스템의 대구센터 이전을 위해 대통령실 재정당국과의 논의 등 예비비 확보 절차에도 착수했다. 적극적인 예비비 투입을 통해 복구 속도를 최대로 끌어 올린다는 방침이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산망 장애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정부는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주요 시스템을 선별해 이들에 대한 관리 체계를 별도로 마련할 계획이다. 선별된 시스템에 대해서는 범정부적인 관리 체계를 구축해 시스템별 대체 서비스 제공과 국민 불편 사항에 대한 민원 응대 체계를 가동하고 민간 포털을 통해 국민들에게 자세히 안내할 예정이다.
3일 오전 6시 기준 이번 화재로 중단된 647개 서비스 중 재가동된 서비스는 115개로 복구율은 약 17.8%에 불과하다. 국민생활 밀접 1등급 시스템 38개 중 전날까지 21개가 정상화됐으며 96개 서비스는 대구센터로 이전해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다.
대전경찰청은 지난 1일 전산실 관리 책임자, 현장 작업자, 감리업체 관계자 등 4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했다.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주전원이 화재 66분 전 차단된 사실이 로그로 확인되며 관련자 진술과 일치했다.
경찰청은 30명 규모 전담수사팀을 구성하고 국정자원과 관련 업체 3곳 등 4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완료하고 추가 관계자 소환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배터리팩 6개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보내 정밀 감정을 진행 중이다.
한편 2일 중대본 회의에서는 ▲리튬이온 배터리 관리·이전 절차 전면 재검토 ▲전원 차단 시점·방법 표준 매뉴얼 제정 ▲비상시 대체 수단 확보 및 재난대응 훈련 강화 등 업무 연속성 계획(BCP) 점검을 지시했다. 행안부는 ▲향후 점검 대상 확대 ▲안전관리 지침 강화 ▲전원 차단 장치 이중화 방안 마련 등을 추진해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편에 착수할 예정이다.
석주원 기자 stone@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