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불편 및 군 작전 차질 우려
철저한 사업 관리로 전력 인프라 적기 공급 강조
| 한스경제=이성철 기자 |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 추진중인 '백령발전소 증설사업'이 두 차례의 시공사 계약 해지로 5년 가까이 표류하면서 블랙아웃(대규모 정전) 위기에 직면하며 군부대와 주민들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전력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백령발전소 증설사업의 발전동 증축 등 토건공사를 맡았던 D사가 이달 초 공사계약 위반 및 연락 두절을 사유로 계약 해지됐다.
앞서 2022년부터 시공을 맡았던 S사 역시 재무 악화로 지난해 계약이 해지된 바 있어 두 번째 공사가 중단됐다.
앞서 한전은 2020년 증설사업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당초 2022년 12월까지 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부지 내 오염토 발견 및 처리와 시공사 문제가 겹치면서 준공 시점은 오는 2027년 6월로 4년6개월이나 늦춰졌다.
한전 관계자는 “계약 해지에 따른 계약보증금 및 선금 회수 조치를 완료한 뒤, 내년 1분기에 신규 시공사를 선정해 공사를 재개할 계획”이라며 “공사 지연과 물가 변동 등을 반영해 총사업비를 355억 원에서 383억 원으로 증액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증설사업 장기화로 백령도 군부대는 이미 비상 상황을 겪고 있다.
지난 8월 23일 백령도 전역이 블랙아웃 위기에 직면하자 한전 인천본부 백령지사는 군에 전기 사용 감축을 요청했고 이에 군은 23일과 25일 두 차례에 걸쳐 비필수 시설 전기를 모두 차단해야 했다.
군은 올해 생활관과 의무중대 신축을 위해 각각 190㎾, 500㎾의 전력 공급을 한전에 요청했으나 아직도 공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백령발전소 증설사업이 계속해서 늦어진다면 장병 생활은 물론 군 전투준비태세까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군 관계자는 “의무중대 신축은 수술실과 진료실을 확장하는 공사로, 장병뿐 아니라 주민들까지 이용할 수 있는 핵심 의료시설”이라며 “전력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지역 내 응급환자 진료 차질도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현재 15,000kW의 발전설비를 운영중인 백령발전소는 1,500kW 노후 설비 4기를 철거하고 12,000kW를 증설해 총 21,000kW를 운영할 계획이었다.
결국 한전은 전력 수요 요청이 잇따르고 블랙아웃 위기에 직면하자 철거 예정이던 4개 노후 발전기를 전력 공급이 안정될 때까지 비상용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허 의원은 "백령도는 안보적 중요성과 함께 지역 주민의 생활 여건 개선, 개발 수요가 함께 있는 곳"이라며 "전력 인프라가 계획대로 적기에 구축되지 않으면 주민 불편 뿐만 아니라 국 작전에도 차질이 생기는 만큼 한전은 보다 철저한 사업 관리와 수요 예측으로 공사 차질이 재발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성철 기자 leesc@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