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하태민 기자 | 전남 여수지역 제조업체 체감경기가 4분기에도 개선 기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주력 산업인 석유화학 업종 부진과 내수 위축, 자금난 심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기업 경기전망이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여수상공회의소는 30일 지역 내 186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4/4분기 기업경기전망조사(BSI) 결과 BSI가 52.1로 전분기(55.7) 대비 3.6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다.
BSI는 기업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준치인 100을 웃돌면 경기 호전을 예상하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며 100 미만은 경기 악화를 전망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다.
업종별로 보면 석유화학업종은 52.4로 전 분기(46.2) 대비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기준치를 크게 밑돌며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반면 일반 제조업은 51.7로 전 분기(67.7)에서 무려 16포인트 하락, 급격한 체감경기 악화를 보였다.
석유화학 업종은 최근 중국 노후설비 감산, 단기 유가 안정 등 일부 긍정적인 요소가 있었지만 글로벌 수요 부진, 중국·중동발 공급과잉으로 인한 범용제품 경쟁력 약화가 지속되면서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했다.
일반 제조업은 여수국가산단 장기불황 여파로 인한 수주 감소, 하도급 위축, 고용 불안이 계속되고 있으며 소비 위축과 관광업 침체가 겹치면서 지역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응답 기업들이 꼽은 매출 증대 주요 장애 요인은 △내수시장 침체(47.9%) △자금 사정 악화(42.3%) △원자재 가격 상승(35.2%)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가장 부담이 큰 입법 요인으로 △법인세 등 비용 증가(29.8%) △노사관계 부담(23.4%) △공정거래법 등 규제 강화(22.6%)를 지적했다. 반면 기업이 절실히 요구하는 입법은 △위기산업 사업재편 지원(31.9%)과 △지역경제 활성화(29.7%) 관련 법안이었다.
한문선 회장은 "석유화학산업 장기불황이 단일 산업 위기를 넘어 지역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며 "전기료 감면, 산업구조 개편 지원 등 국가 차원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하태민 기자 hamong@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