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첫날인 29일 오전 인천 연수구 인천항 국제크루즈터미널에 중국인 단체 크루즈관광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첫날인 29일 오전 인천 연수구 인천항 국제크루즈터미널에 중국인 단체 크루즈관광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 한스경제=박종민 기자 |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이 29일 시작되면서 관광업계에서도 기대감이 흘러나오고 있다.

정부의 이번 조치로 2026년 6월 30일까지 국내·외 전담 여행사가 모객한 3인 이상 중국인 단체관광객은 비자 없이 15일간 국내 관광을 할 수 있다. 제주도는 이전과 동일하게 개별·단체 관광객 모두 30일 무비자 방침이 유지된다.

앞서 일각에선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에 따라 출입국 심사 관련 기능이 마비돼 입국 조치를 연기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지만, 법무부는 “화재와 무관해 예정대로 시행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방한 관광 활성화 정책의 일환이다. 정부는 내년 6월까지 중국 관광객 100만 명 정도가 더 한국을 찾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중국의 최대 명절인 국경절(10월 1∼7일·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선포 기념일)을 앞두고 무비자 정책이 시행된 만큼 다음 달 중국 관광객들이 얼마나 방한할지 시선이 집중된다.

관광업계는 방한 관광객 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전 수준으로 회복세를 보이는 만큼 중국인 관광객 수도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종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