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불편 최소화에 집중
| 한스경제=이상은 기자 | 경주시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행정 전산망 마비 사태에 대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지난 26일 발생한 화재는 전국적인 전산 시스템 장애를 야기했으며, 경주시 역시 주민등록, 건축 인허가, 복지 서비스 등 주요 행정 업무 처리에 차질을 빚고 있다.
시는 즉각 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실을 가동하고 긴급 대책회의를 개최하여 비상 상황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화재는 26일 오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전산실에서 발생했으며, 정부는 27일 오전 국가위기경보 단계를 '심각'으로 격상했다. 이로 인해 주민등록 관련 업무, 건축행정시스템, 산지전용정보시스템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전산 시스템 다수가 전국적으로 장애를 겪고 있다.
경주시에서는 주민등록 전입·정정 신고 및 주민등록증 발급 업무가 중단됨에 따라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수기 접수 방식으로 민원을 처리하고 있다. 건축 인허가 민원 역시 서면으로 전환하여 접수받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는 농림사업정보시스템(아그릭스) 접속이 정상화되었으나, 농식품부에는 농업 보조금 신청 기한 연장을 요청한 상태다.
복지 분야에서는 전자바우처 결제가 중단되었으며, 아이돌봄 서비스에서도 일부 오류가 발생했으나, 시는 제공기관에 안내를 마치고 수기 기록 및 가상계좌 입금 방식으로 서비스가 지속될 수 있도록 조치했다. 또한, 언론 홍보 창구인 공직자통합메일 장애에도 불구하고, 경주시 홍보담당관실은 네이버 등 대체 이메일 계정을 활용하여 보도자료 배포에 공백이 없도록 비상 조치를 시행했다.
긴급 회의에서는 외부 장애로 인한 영향 최소화 방안, 중단된 서비스의 대체 수단 마련, 민원 응대를 위한 콜센터 기능 강화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되었다. 시는 서비스 지연 및 중단이 예상되는 분야에 대해 수기 접수 등 임시 대응책을 마련하여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전국적인 전산 장애 상황이지만 시민 불편 최소화를 최우선으로 삼고 있다"며,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력하여 복구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i4066852@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