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시장 정장선)는 28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행정정보시스템 일부가 중단되자 즉각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꾸리고 대응체제에 돌입했다./ 평택시 제공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28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행정정보시스템 일부가 중단되자 즉각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꾸리고 대응체제에 돌입했다./ 평택시 제공

|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28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행정정보시스템 일부가 중단되자 즉각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꾸리고 대응체제에 돌입했다.

시는 이날 시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정장선 시장 주재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민원 불편 최소화 ▲대체 서비스 제공 ▲장기화 대응 시나리오 등을 집중 점검했다.

정장선 시장은 “시민의 행정서비스 이용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전 부서가 긴밀히 움직여야 한다”며 “현장에서 즉시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을 적극 마련하고, 불편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선제적으로 조치하라”고 지시했다./ 평택시 제공
정장선 시장은 “시민의 행정서비스 이용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전 부서가 긴밀히 움직여야 한다”며 “현장에서 즉시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을 적극 마련하고, 불편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선제적으로 조치하라”고 지시했다./ 평택시 제공

특히 무인민원발급기와 정부24 서비스 중단에 대비해 민원 접수를 전면 오프라인으로 전환하고, 시 홈페이지와 SNS를 통해 시민들에게 다양한 민원 신청 방법을 안내하기로 했다. 또한 유관기관과의 협력 체계 강화, 비상 연락망 가동 등을 통해 혼란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정장선 시장은 “시민의 행정서비스 이용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전 부서가 긴밀히 움직여야 한다”며 “현장에서 즉시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을 적극 마련하고, 불편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선제적으로 조치하라”고 지시했다.

한편, 평택시는 행정정보시스템 정상화 시까지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중심으로 대응을 이어가며, 중앙부처 및 경기도와 협력해 행정 공백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김두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