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비철금속협회, 23일 코딧 발간 이슈페이퍼 내용 소개
“알루미늄 판재·압출재-구리 동관·동봉 전방위 타격”
미국과 관세 인하 협상·예외 확보·다자 규범 연대 제언
코딧 부설 글로벌정책실증연구원이 23일 발간한 ‘트럼프 행정부의 알루미늄·구리 50% 품목관세 부과와 한국의 대응 전략’ 이슈페이퍼 이미지./한국비철금속협회
코딧 부설 글로벌정책실증연구원이 23일 발간한 ‘트럼프 행정부의 알루미늄·구리 50% 품목관세 부과와 한국의 대응 전략’ 이슈페이퍼 이미지./한국비철금속협회

| 한스경제=임준혁 기자 | 한국비철금속협회는 24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알루미늄·구리 50% 품목관세 부과와 한국의 대응전략’이란 이슈페이퍼(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발표하며 국내 산업 영향과 대응 방향을 밝혔다.

코딧 부설 글로벌 정책실증연구원에서 지난 23일 발간한 이 보고서는 한미 상호관세 협상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품목관세가 국내 비철금속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주요국의 대응을 분석해 정책적 해법을 제안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비철금속 산업은 57조원 규모이나 중소·중견기업 중심의 구조적 취약성을 안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은 원재료 수입 의존도가 높은 밸류체인 탓에 관세 충격이 직격탄으로 작용하고 구리 가공 제품은 제품군별 수출 의존도가 커 피해가 집중되는 양상이다. 철강과 달리 규모의 경제 달성이 어려워 R&D·ESG·공급망 관리에서도 한계가 뚜렷하다는 진단이다.

보고서는 알루미늄 판재·박·압출재 전반이 피해 대상이 되고 구리 동관·동봉 대미 수출은 사실상 중단 위험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그 결과 국내 업계는 △대미 수출 급감 △시장 다변화 비용 급증 △현지화 압력 확대의 ‘삼중고’를 겪고 있으며 단순 무역 피해를 넘어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투자 전략 변경을 강요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알루미늄·구리가 자동차·반도체·전기차 배터리 등 핵심 산업과 긴밀히 연결된 전략자원인 만큼 충격 파급은 제조업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비철금속협회와 코딧 글로벌 실증정책연구원은 캐나다·중국·호주·인도 등 주요국의 보복관세, WTO 제소, 재정지원, 시장 다변화 등 대응 사례를 종합 검토하고 한국에 필요한 ‘비철금속 산업 지원 5대 정책 권고’를 제시했다.

권고안은 우선 한미 협상을 통한 관세 인하·예외 확보를 제안했다. 이어 양자·다자 규범과 연대를 통한 협상력 강화를 권고했다. 협회와 코딧 글로벌연구원은 이 밖에도 △국내 피해 최소화를 위한 신속·정밀 지원 △중장기 경쟁력 및 공급망·데이터 관리 강화 △국회의 제도적 뒷받침과 후속 입법을 권고안으로 소개했다.

비철금속협회 관계자는 “알루미늄·구리 50% 품목관세는 한국 전략산업의 기반을 흔들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철강과 알루미늄을 분리해 접근하고 대미 협상에서 업계 간 이해 일치 지점을 적극 활용하는 한편 공급망 안정과 정책 수단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비철금속협회는 1975년 창립해 전통산업(전기·전자·자동차·조선·건설)부터 미래산업(반도체·전기차·AI·이차전지·재생에너지)까지 비철금속 수요 전반을 아우르며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회원사에 수출입·생산·가격 통계와 시장 동향을 제공하고 정부·국회와의 정책 협의와 통상 현안 대응 연구세미나 등을 통해 업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다.

임준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