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박정현 기자 | 김영섭 KT 대표는 24일 "해킹으로 개인정보가 유출된 고객 2만여명에 대해 (위약금 면제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KT발 해킹 피해에서 기업과 소비자간 신뢰 회복의 핵심 사안으로 부상한 '번호이동 위약금' 문제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한민수 의원(더불어민주당)의 위약금 면제 관련 질의에 김 대표는 "정보 유출까지 피해가 발생한 고객 2만30명에게는 적극적으로 검토한다"고 대답했다.
전체 고객의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해서는 "생각은 하고 있지만 최종 조사 결과를 보고 피해 내용을 고려해 검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7월 3일 대통령이 SKT에 대해 위약금 면제가 필요하다는 취지로 발표하자 과기정통부가 SKT의 위약금 면제 처분을 내렸는데 KT에 대해서도 형평성 있게 적용할 것인지를 질의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KT가 SKT 처럼 안전한 통신 제공 의무를 위반했다면 위약금 면제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7월 4일 SKT 침해사고 민관합동조사단 최종 조사 결과 발표에서 "SKT가 유심정보 보호를 위한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고, 관련 법령을 미준수한 점에 미뤄 이번 침해사고에 과실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며 "위약금 면제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바 있다. 이날 SKT는 기자회견을 열고 위약금 면제 적용을 발표했다.
KT는 우선 개인정보가 유출된 2만여명에 대해 위약금 면제를 적극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IMEI가 유출된 고객을 대상으로 한 기기 변경 지원은 확답을 피했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단말기식별정보(IMEI) 유출의 심각성을 지적하며 “기기 위약금 면제를 피하려면 기기 변경 지원이 필요하다”고 압박했다. 김 대표는 “소액결제 해킹 사고 결과의 추이를 지켜보고 기기 변경 지원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박정현 기자 awldp219@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