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IMF 연례협의 결과 발표...내달 공식 경제전망에도 반영될듯
라훌 아난드 IMF 한국 미션단장이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 IMF 연례협의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라훌 아난드 IMF 한국 미션단장이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 IMF 연례협의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 한스경제=이나라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8%에서 0.9%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IMF는 한국의 실질 성장률이 2% 부근의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저성장 국면에서 2차 추가경정예산의 효과 등 확장재정이 적절했다고 평가했다.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 한국미션단은 지난 11일부터 2주간 진행된 연례협의 결과,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8%에서 0.9%로 0.1%포인트(p) 올렸다. 

미션단은 발표문에서 "완화된 재정·통화 정책에 힘입어 국내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견조한 대외 반도체 수요가 다른 수출의 감소를 상쇄하면서 올해 성장률은 0.9%를 기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에는 불확실성 완화·완화적 정책의 효과 본격화·기저효과 등으로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8% 확대될 것이다"고 내다봤다. 이는 정부와 한국은행의 공식 전망치(0.9%)와 동일한 수준이다. 

이번 수치는 연례협의단의 견해로, 내달 발표할 IMF 공식 경제전망에도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IMF는 매년 4월과 10월에 전체 회원국의 경제전망을, 1월과 7월에는 주요 30개국을 상대로 수정전망을 발표한다.

라훌 아난드(Rahul Anand) 미션단장은 별도의 기자회견에서 "지난 7월 경제전망 이후에 나온 2차 추경을 반영해 올해 성장전망치를 다른 기관과 유사한 수준으로 소폭 높인 것이다"고 말했다. 

다만 IMF는 글로벌 무역의 불확실성이 높고 세계 각지의 지정학적 리스크 탓에 주요 교역상대국의 성장세가 빨리 위축되면서 한국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난드 단장은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취하는 재정정책 기조는 적절하다"면서도 "한국은 고령화 사회이기에 앞으로 굉장히 많은 지출 요구가 있는 만큼 재정개혁도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나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