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韓-체코 첫 정상회담 "원전 넘어 반도체·전기차로 협력 확대"
韓-우즈벡 첫 정상회담…“핵심광물 등 협력해 시너지 기대”
구테레쉬 사무총장 "한국 대북정책, 현명한 접근"
이재명 대통령과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한스경제=주진 기자 | 유엔총회 참석차 방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체코, 우즈베키스탄 정상과 잇달아 회담을 갖고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대통령은 "올해가 한-체코 수교 35주년이자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 1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로서, 그간 양국 관계가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어 온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양국 간 협력이 원전을 넘어서 반도체, 전기차, 방산 등으로 확대되어 호혜적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파벨 대통령은 지난 6월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최종 계약이 체결된 것을 언급하며 "우리가 한국 기업의 우수한 능력을 높이 평가한 것"이라고 화답했다. 

아울러 파벨 대통령은 한국의 9월 유엔 안보리 의장국 활동과 관련해 국제사회의 변화 속에 가치를 공유하는 민주국가 간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면서 기회가 되면 방한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파벨 대통령의 방한 의사를 환영한다"면서 "양국 정상 간 상호교류가 이어지고 협력이 심화돼 양국 관계가 한층 더 발전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이 철도, 공항, 도로를 포함한 교통·인프라를 비롯하여 핵심광물 등 공급망 분야에서 실질 협력을 확대해 나간다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7월 24일 미르지요예프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교통 분야와 인프라 분야에서 양국의 실질적이고 호혜적인 협력을 확대하자는 데 공감대를 이룬 바 있다.

이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 내 고려인 17만 여 명이 정 재계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양국 관계 발전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23, 24일에 이탈리아, 프랑스, 폴란드 정상 등과 정상회담을 갖는다.

앞서 이 대통령은 유엔총회 기조연설 직후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접견하고 자신의 평화 구상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이 자리에서 구테레쉬 유엔 사무총장은 우리 정부의 대북 정책 방향을 두고 "현명한 접근"이라고 평가하며 "유엔도 적극 지원, 지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주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