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현장 지원 강화
|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경북교육청은 2026년까지 늘봄학교 운영을 전담할 인력인 늘봄지원실장 53명을 추가로 선발하고 배치·운영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늘봄학교의 안정적인 정착과 교원의 업무 부담 경감을 목표로 한다.
현재 경북교육청은 도내 초등학교 465개교와 특수학교 8개교에서 늘봄학교를 운영 중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학교별로 늘봄지원실을 설치하고, 늘봄지원실장 110명, 기간제 교원 53명, 늘봄행정실무사 1명을 배치해왔다.
이번에 새롭게 선발되는 53명의 늘봄지원실장은 기존에 한시적으로 운영되던 정원 외 교사 인력을 ‘임기제 교육연구사’로 전환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이들은 2년의 임기 동안 교육 및 돌봄 프로그램 운영, 강사 섭외, 예산 관리, 민원 응대 등 늘봄학교 운영 전반을 책임지게 된다.
늘봄지원실장 선발은 서류 심사와 기본 소양 및 역량 평가를 거쳐 최종 확정되며, 2026년 3월 1일 자로 도내 공립 초등학교에 배치될 예정이다. 구체적인 공개 전형 계획은 9월 말에 별도로 공개될 예정이다.
지난 6월 실시된 늘봄지원실장 제도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전체 평균 만족도는 83.8%를 기록했으며, 제도가 학교 현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은 89.4%에 달했다. 응답자들은 늘봄지원실장 배치로 인해 운영의 체계성과 안정성이 확보되었으며, 교원의 업무 부담이 크게 줄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5월에 진행된 학부모 및 학생 대상 만족도 조사에서도 89% 이상이 늘봄학교 운영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여, 늘봄학교가 현장과 가정 모두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시사했다.
경북교육청은 늘봄학교의 성공적인 정착과 현장 업무 담당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난 7월부터 인공지능(AI) 기반의 ‘경북형 늘봄학교 챗봇’ 서비스 운영 등 현장 지원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임종식 교육감은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를 통해 전문성을 갖춘 늘봄지원실장을 선발함으로써 늘봄학교가 더욱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손철규 기자 sonck55@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