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비정상 결제 시도 차단 직전까지 상당 규모 진행
피해 현황 집계, ARS만 국한...“소극적 대응” 지적
황정아 의원 “KT 거짓 변명...피해 전수조사 필요”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기존 알려진 지역 외 서울 서초·동작구와 일산 등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뒤늦게 파악됐다./연합뉴스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기존 알려진 지역 외 서울 서초·동작구와 일산 등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뒤늦게 파악됐다./연합뉴스

| 한스경제=김종효 기자 |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기존 알려진 지역 외 서울 서초·동작구와 일산 등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뒤늦게 파악됐다. KT가 자의적이고 소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KT가 2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는 당초 알려진 지역 외에도 서울 동작구·금천구,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에서도 발생했다. 앞서 경찰은 경기 광명·부천·과천, 서울 금천·영등포, 인천 부평 일대를 대상으로 수사를 벌이고 있었다.

황 의원에 따르면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이 처음 알려진 지난 4일과 5일에도 100건에 가까운 무단 결제가 발생했다. 4일 36명에게서 83건, 피해액은 2499만원이 발생했고 5일은 11명에게서 14건, 피해액은 550만원이었다. KT가 비정상적인 결제 시도를 차단하기 전까지 무단 소액결제가 상당 규모 진행된 셈이다.

KT는 앞서 국회에 지난 4일과 5일에 피해 건수가 없었다고 보고했지만 1차 발표에서 피해자 수를 278명으로 집계한 뒤 다시 362명으로 정정했다. 피해 건수도 527건에서 764건으로 늘었다.

KT는 다만 지난 5일 새벽 비정상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한 이후 무단 소액결제 피해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황 의원은 KT가 애초부터 범행 지역과 시기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빨리 공개했다면 수사에 도움이 됐을텐데 주요 정보를 뒤늦게 내놓는다며 “KT가 고의적 축소 은폐 시도를 반복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또 이를 토대로 SKT 때보다 더 강력한 제재와 함께 피해 배상 강제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KT가 피해 현황을 ARS(자동응답전화) 수신 상황만 따져 집계하기 떄문에 피해 집계가 정확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해킹범들이 피해자 휴대전화로 가야 하는 ARS 신호를 탈취해 소액결제에 성공한 사례에만 집중하는 자의적·소극적 대응으로 인해 피해 현황이 계속 확대된다는 것이다. 실제 일각에선 카카오톡 무단 로그인이나 본인인증 사례까지 주장하고 있어 더 면밀하고 광범위한 조사 필요성이 제기된다.

황 의원은 KT가 이번 사태에 대해 거짓 변명만 내놨다며 “지금이라도 소액결제가 이뤄진 모든 고객에게 직접 결제 현황을 고지하고 피해 전수조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종효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