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서 ‘평화경제전략’ 제시
DMZ 태양광·풍력 인프라 설치하는 ‘평화에너지 프로젝트’ 강조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와 미군 반환공여지 개발 전략 발표
김동연 지사 “경기도가 평화 번영의 길을 굳건히 뒷받침하겠다”
경기도(지사 김동연)는 19일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에서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3대 평화경제전략’을 제안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지사 김동연)는 19일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에서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3대 평화경제전략’을 제안했다./ 경기도 제공

|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경기도(지사 김동연)는 19일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에서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3대 평화경제전략’을 제안했다.

김동연 지사는 이날 기념사에서 “김대중 정부가 재탄생의 계획을 세우고, 노무현 정부가 터를 닦은 이곳에서 이재명 국민주권 정부로 평화의 바통이 이어졌다”며 “경기도가 평화 번영의 길을 가장 굳건히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당장 추진할 수 있는 평화경제 전략 세 가지를 제안한다”고 말했다.

첫 번째 전략은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다. 이는 문재인 정부의 ‘DMZ 내 솔라파크’ 조성과 지방정부협의회의 ‘DMZ 평화에너지벨트 구축’ 구상을 연계해 DMZ와 접경지에 대규모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사업이다. 김동연 지사는 “첨단산업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경기 북부 주민들과 이익을 공유할 수 있다”며 추진 의지를 드러냈다.

두 번째 전략은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 내 기후테크 클러스터 구축이다. 김동연 지사는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유망기업을 육성해 경기북부를 대한민국 기후경제의 선도지역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평화경제특구는 세제 감면, 자금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지는 지역으로, 산업·관광 특구로 발전 가능성이 크다.

세 번째 전략은 미군 반환공여지 개발이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에는 캠프그리브스를 포함해 개발 가능한 반환공여지 22곳이 있다”며 “경기도가 앞장서 교통 인프라 확충과 규제 완화를 추진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김동연 지사는 “‘9.19 평양공동선언’은 남북 교류 협력을 촉진하는 가장 구체적인 경제 선언이며, ‘9.19 군사합의’는 군사 충돌을 막는 실질적인 평화 선언”이라며 “긴장의 땅을 성장의 땅으로 만들어가자”고 제안했다.

한편, 이번 기념식은 경기도와 통일부, 민주정부 한반도평화 계승발전협의회가 공동 주최하고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이 후원했다.

이날 행사에는 문재인 전 대통령, 우원식 국회의장, 정동영 통일부 장관, 정세현·이재정·김연철 전 장관 등 전·현직 고위 당국자 200여 명이 참석해 평화경제 비전을 공유했다.

김두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