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인한 고온현상 아시아에서 특히 두드러져
|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 관측 사상 가장 더웠던 올해 우리나라 여름 석 달(6~8월) 중 절반 이상이 기후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분석 결과가 발표됐다.
이 분석은 폭염, 가뭄, 태풍 등 기상 현상에 기후변화가 미친 영향을 평가하는 미국 비영리 기후 분석 기관 클라이밋 센트럴(Climate Central)이 17일 발표한 ‘기후변화에 노출된 사람들(People Exposed to Climate Change: June-August 2025)' 보고서에 실렸다. 이 보고서는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전 세계에서 나타난 고온에 기후변화가 미친 영향을 다뤘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 여름철 평균 기온은 1990년대 대비 1.9도 높았고, 6~8월 총 92일 중 53일의 기후전환지수(Climate Shift Index)가 2레벨 이상을 기록했다. 기후전환지수는 클라이밋 센트럴이 기상 현상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등급으로 나타내기 위해 만든 지표다.
일례로 폭염이 발생한 어떤 날의 기후전환지수가 2레벨 이상이라면, 기후변화가 그 폭염 발생 가능성을 2배 이상 높였다는 뜻이다.
세계적으로 보면, 올여름 매일 최소 전 세계 인구의 22%(18억명)가 일평균 기온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월 19일, 8월 10일, 8월 12일에는 이러한 영향을 받은 인구가 전 세계 인구의 약 50%(약 41억명)에 이르렀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아시아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타지키스탄의 계절 평균 기온은 1990년대 대비 2.2도 높았고, 기후전환지수가 2레벨 이상을 기록한 일수는 53일에 달했다. 일본 역시 평균 기온이 2.1도 상승했으며 61일간 기후전환지수 2레벨 이상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나라 도시 중에서는 수원과 대구의 여름철 평균 기온이 1990년대 대비 2.1도 높았고, 서울은 1.9도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3개월 중 기후전환지수가 2레벨을 넘은 일수는 광주(63일)와 인천(59일) 순으로 많았으며, 서울은 54일을 기록했다.
우리나라 기상청이 지난 4일 발표한 ‘2025년 여름철 기후 특성’에서도 올해 여름철 우리나라 전국 평균 기온은 25.7도로, 가장 더웠던 지난해(25.6도)보다 0.1도 높아 역대 1위 기록을 새로 썼다. 또한 밤 기온이 25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열대야도 서울에서 46일 동안 나타나 역대 1위였던 지난해 기록(39일)을 갈아치웠다.
크리스티나 달(Kristina Dahl) 클라이밋 센트럴 과학 부문 부대표는 “계절마다 세계 각국은 새로운 기온 기록과 비정상적인 재난을 마주하며 기후변화가 더 이상 미래의 위협이 아님을 분명히 체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후변화의 영향은 부인할 수 없다. 온실가스 배출 감축이 늦어질수록 더 많은 지역사회와 생태계, 경제가 고통을 받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클라이밋 센트럴은 매년 두 차례 기후변화가 기상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발표한다. 올해 여름철 계절 평균 기온을 1990년대(1991~2000년)와 비교한 이번 보고서는 유럽증기예보센터(ECMWF)의 온도 재분석 자료 ERA5와 미 항공우주국의 2020년 판 인구 자료(the Gridded Population of the World v4)를 활용했다.
신연수 기자 yshi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