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정명근 화성시장이 매일같이 자신의 SNS를 통해 시민과 소통하며 공개해온 활동상이 지난 15일 폭행 사태 이후 멈춰 섰다. 활발한 소통의 중단은 단순한 SNS 공백을 넘어, 시민들에게 ‘폭력으로 행정을 멈출 수 있다’는 충격적 메시지를 남기고 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공직사회에서는 안전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으며, 시민들 사이에서도 행정 신뢰와 안전 확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16일 정명근 화성시장이 점심 식사 도중 민원인으로부터 폭행을 당해 병원 치료를 받는 사건이 발생했다. 정명근 시장은 사건 직후 즉각 고발 조치를 진행하며, 원칙에 따른 행정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사건의 피의자는 과거 특정 개발 사업 과정에서 추가 비용 부담 문제를 둘러싸고 지자체와 갈등을 빚어온 인물로 알려졌다. 해당 과정에서 수년간 관련 민원을 반복적으로 제기해 왔으며, 최근까지도 신도시 개발과 관련한 요구를 이어온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화성시는 이 같은 요구가 상위법과 제도에 저촉돼 단체장이 임의로 수용할 수 없는 사안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왔다고 강조했다.
정명근 시장 측도 “시장 권한 밖의 인허가 문제는 결코 임의로 처리할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밝혀왔다. 이번 사건 역시 이러한 입장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정 시장 측은 이번 폭행을 단순한 개인적 불만 표출이 아니라 행정 집행 과정에서 발생한 심각한 충돌로 보고 있다.
화성시와 인근 지자체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충격과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단순한 개인 간 다툼을 넘어, 법 집행 그 자체에 대한 위협”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비슷한 사례는 과거에도 있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단체장이 민원인과의 충돌로 인해 신체적 피해를 입거나 위협을 받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사건이 반복되는 것은 지방자치 행정을 위협하는 사회적 문제”라며 “공직자 안전을 보장할 제도적 장치와 법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로 인해 이번 사건은 단순 폭행을 넘어, 지방자치 현장에서 법과 제도를 지키는 공직자들에게 가해지는 위협이자 경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화성시 사건을 계기로, 민원 대응 체계와 공직자 안전망 확립에 대한 논의가 불가피해 보인다.
한편, 현재 정 시장은 병원 치료를 받으며 회복 중이지만, “시민 모두에게 공정하고 정의로운 행정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굽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공직자 출신으로서 원칙 행정을 강조해온 그는 이번 사건에서도 흔들림 없는 소신을 주변에 다시금 각인시킨 것으로 전해진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