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K-스틸법·배임죄·청년고용·지역발전 논의 전망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있다. /연합뉴스

| 한스경제=김현경 기자 |  여야가 '2+2 형식'의 민생경제협의체 가동에 합의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양당 대표가 오찬 회동에서 민생·경제 관련 양당 대선 공통공약 추진을 위한 협의체 구성을 합의한 지 8일 만이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협의체는 양당 원내대표를 제외하고 더불어민주당의 한정애 정책위의장과 허영 원내정책수석부대표, 국민의힘의 김도읍 정책위의장과 김은혜 원내정책수석부대표로 구성된다. 

애초 여야는 원내대표까지 포함한 '3+3 구성안'을 논의했지만, 정청래 민주당 대표의 교섭단체 연설 중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 수첩에 적힌 내용이) 현실로 성공했더라면 이 대통령도, 정청래도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을 것"이라는 발언에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그랬으면 좋았을 걸"이라고 응수해 논란이 불거졌다. 민주당은 송 원내대표의 사과를 요구하고 윤리위 제소를 추진, 협의체에서의 제외를 요구했다. 이에 송 원내대표는 민생이 우선이라며 협의체에서 빠지겠다고 밝혀 극적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협의체는 양당의 대선 공통 공약을 중심으로 민생 현안을 논의하며, K-스틸법과 기업 배임죄 완화, 청년 고용, 지역 균형발전 등이 논의 테이블에 오를 예정이다.

김현경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